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전국 교정조직에서 근무하는 구성원 39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해 조직공정성이 조직침묵을 거쳐 조직시민행동에 이르는 과정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념적 침묵이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직경로에 따라 집단 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채집단에서는 상호작용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친사회적 침묵이 매개하였고, 공채집단에서는 상호작용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체념적 침묵이 매개하였다. 넷째, 공채집단에서 절차적 공정성은 조직침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특채집단에서는 절차적 공정성이 체념적 침묵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친사회적 침묵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으로 첫째, 조직공정성 중에서도 상관의 공정한 태도가 침묵의 부정적 효과를 줄이고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과, 둘째, 기존에는 부정적인 개념으로 알려진 조직침묵의 긍정적 효과를 처음으로 입증하였다는 것, 셋째, 조직 내 침묵현상을 관리하는데 있어 특채와 공채집단의 차이를 고려한 선별적 개입의 필요하다는 것, 넷째, 현재 교정조직 내 성과보상제도의 절차가 합리적이고 수용가능한 수준인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justice up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silence, based on a survey of 390 workers at correctional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Analysis of results first indicates that interactional justice exert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a negative effect on acquiescent silence and defensive silence. Second, Acquiescent sil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the results of between-group analysis depending on enter route indicates that prosocial silence formed the bridge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pecial-employed worker group and acquiescent silence formed the bridge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pen-recruited worker group. Fourth, while procedural justice does not exert any effect on organizational silence in open-recruited worker group, procedural justice exerts a positive effect on acquiescent silence and a negative effect on prosocial silence. The article implicates that (1) superior’s fair attitude among organizational justices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hat reduces the negative effects of silence and promot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2) organizational silence, previously considered as negative concept is proved to have positive effects, (3) managing silence phenomenon in organizations requires a selective engagement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special-employed worker group and open-recruited worker group, (4) examining the rationality and acceptability of merit pay system in correctional organiz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