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998년(1차)과 2004년(7차) 두 시기에 걸쳐 조사된 종단적 자료 를 사용하였다. 2,004명의 60세 이상을 표본으로 하여 종교유무에 따른 생활만족도 연구이다. 종교유무를 1998년부터 2004년까지 6년에 걸친 4가지 종교 형태로 살펴보았다. 즉, 측정 2시점 모두에서 종교를 계속 갖고 있는 집단(T1: Yes - T2: Yes), 두 번째 측정 시점에 종교를 새롭게 가진 집단(T1: No - T2: Yes), 두 번째 측정 시점에 더 이상 갖고 있지 않는 집단(T1: Yes - T2: No), 두 시점 모두 계속해서 없는 집단(T1: No - T2: No)의 4가지 집단을 설정하였다. 이변량 분석 결과 지속집단(T1: Yes - T2: Yes)과 없는 집단(T1: No - T2: No) 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즉, 6년간에 걸쳐 계속해서 종교를 유지했던 집단에서 계속해서 전혀 종교가 없었던 집단과 비교하여, 생활만족도가 높고, 여자의 비율이 높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많았고, 단독가구일 가능성이 높았고, 미취업 상태에 있는 경향이 있으며, 봉사활동을 하고 있고, 진단 경험이 있는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모형에서 종교를 계속 가지고 있었던 집단일 경우, 계속해서 종교가 없었던 집단과 비교하여 생활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새롭게 종교를 갖거나, 있었던 종교를 더 이상 유지하지 않았을 경우, 전혀 종교가 없었던 집단과 비교했을 경우 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없었다. 즉, 활동(activity)이론이 지속성(continuity)이론이나 유리이론(disengagement)에 비해 노인기의 종교의 영향력을 설명하는데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활동이론에 입각하여 종교기관이 교육사회복지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제도화된 기관과 연계가 된다면 여가선용사회적 참여의 장소가 되어 보다 많은 노인세대가 생활만족도를 높이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religion on life satisfaction. The 1st wave(1998) and the 7th wave(2004) of the KLIPS were used to sample a group of 2,004 elderly aged 60 and over. The dynamics of religion were defined as four different types of religious changes ranged from 1998 and 2004. At the bivariate analys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 continuously-having religion group and a never-having religion group. The sampled elderly continuously having religion over the 6 year period tended to have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be female, have no spouses, live alone, be unemployed, be engaged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be diagnosed as chronic diseases, relative to those having never religion. At the multivariate results, similar findings were obtained. Those having maintained their religion over the 6 year period were better in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never having relig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ctivity theory was applicable to explain the effect of religion on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continuity theory was not supported. Several policy suggestions for assisting in religion centers to provide various social services programs to the elderly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