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노부모-성인자녀 간의 사적 경제교류의 유형을 ‘상호 호혜형,’ ‘원조형,’ ‘의존형,’ ‘독립형’으로 나누어 성인자녀와 경제교류에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였다. 표본은 제 9차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1,036명의 경제적으로 독립하여 따로 사는 자녀가 있는 60세 이상 가구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받은 적만 있는 ‘의존형’이 542명(52.3%)으로 가장 높아 자녀로부터 이전소득이 노년기 소득에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서로 주고 받은 적이 있는 ‘상호 호혜형’이 235명(22.7%), 자녀와 전혀 사적 경제적 교류가 없었던 ‘독립형’이 225명(21.7%)으로 비슷한 비율이었고, 자녀에게 준 적만 있는 ‘원조형’은 34명(3.3%)에 머물러 가장 낮은 비율이었다. 상호 호혜형’ 집단이 ‘자주 왕래’한다는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따로 사는 자녀 수가 제일 많았고, 현금 및 현물을 준 액수가 받은 액수 보다 거의 3배 정도 높았다. ‘상호 호혜형’ 집단에서 경조사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정서적 교류를 위해 주고 받았지만, ‘의존형’ 이나 ‘원조형’ 집단처럼 한 방향으로 교류가 있었을 경우 경제생활에 보탬이 되는 생활비 보조, 주택 구입, 사업 자금 등 생계 목적의 교류이었다. 이변량 분석에서 ‘원조형’ 집단에서 나이가 제일 낮았고, 교육수준, 총소득이 높았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고, 가족 수입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상호 호혜형’ 집단에서 가족 및 친인척 관계 만족도가 제일 높았다. 다항 로지스틱분석에서 ‘의존형’ 집단이 ‘상호 호혜형’ 집단보다 경제적으로 열악하였고, ‘독립형’ 집단이 자녀 왕래정도나 가족관계 만족도에서 ‘상호 호혜형’ 집단보다 왕래가 덜하거나, 만족도가 낮았다. 본 연구에서 역할전도 현상이 뚜렷했지만, ‘상호 호혜형’ 집단이 가족 간의 결속도와 친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서로 주고 받을 경우가 이상적인 교류방향임을 제시하였다. 교환이론과 애착이론의 측면에서 논의하였고, 제도적 차원의 소득창출 프로그램과 세대 간 이해증진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generational economic transfers between older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Four types of intergenerational transfer were named as 'interdependent', 'one-sided aid', 'dependent' and 'independent' groups. Using the 9th wave of the KLIPS data, a group of 1,036 elderly aged 60+ whose adult children not co-residing with them was selected. As expected, a large proportion of 52.3% belonged to 'dependent' group, showing that adult children played a major role in transferring economic aids. An 'interdependent' group was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contacts, more adult children, and tended to give more than they had received. An 'one-sided' economic transfer group had a tendency of giving aids for economic purposes such as living costs, housing purchase, and business aid. At the bivariate level, although an 'one-sided aid' group had better economic standings, an 'interdependent' group tended to show a higher level of family and relative satisfactions. The multi-nominal logistic model also suggested that an 'interdependent' group maintained better older parents-adult children relationships. Both attachment and exchange theory were supported. This paper concluded that income maintenance programs would be needed for a 'dependent' group and an intergenerational mutual understanding program be needed for both a 'dependent' and an 'one-sided aid'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