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고에서는 노인 가구의 경제적 상태 및 이들의 욕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곤지위에 따라 노인 빈곤가구 및 비빈곤가구의 소득구성을 살펴보고, 노인 가구의 소비지출 유형화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 빈곤가구의 경우 이전소득의 비중이 비빈곤가구보다 높았으며, 시장소득의 비중은 노인 비빈곤가구보다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빈곤가구는 비빈곤가구에 비해 전체 소비지출 가운데 식비 및 광열수도비의 비중이 높았으며, 의류비, 교통통신비와 같은 부분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가구의 소비지출 유형은 의료지출 중심형, 주거지출 중심형, 기본생활지출 중심형, 관계지출 중심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가운데 주거비가 소비지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주거지출 중심형의 경우 다른 노인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취약집단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료비의 증가는 대부분의 노인 가구에서 겪는 현상으로, 대부분의 가구에서 의료비 지출은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료지출 중심형 또한 정책적 관심의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주거급여 현실화 및 노인 주거 지원의 확대, 그리고 의료급여제도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보장의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tegorization of consumption for elderly in Korea, focused on poverty and receipts of the public assistance to understand their needs and economic situation. Using the third wave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I compared a composition of income and consumption between poor household and nonpoor household. Furthermore, I categorized the elderly households according to their consumption pattern, and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roup which is divided by their consumption patter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first, poor household’s transfer income is higher than nonpoor household, and their market income is lower than nonpoor household. Furthermore, poor household’s consume food expenses, light and heat expenses more than nonpoor household. Second, the consumption pattern is divided by group of medical expenses, housing expenses, basic living expenses, relationship expenses. Especially, group of housing expenses has very vulnerable character, they will probably a target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a medical expenses are high almost every elderly households, so it is needed to expand a medical security to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