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요양보호사의 소진상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소진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충북 단양 소재 노인요양원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충청북도 단양군에 소재한 노인요양원에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이며,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일원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등의 통계처리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주관적 소진수준은 매우 높았다. 요양보호사의 3/4이 소진단계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상당히 심각한 수준인 좌절단계도 15.7%나 되었다. 둘째, 소진 척도의 하위속성에서는 정서적 탈진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탈진은 일로 인한 스트레스가 심한 상태를 의미하는데, 질적인 면에서 요양보호사의 소진 정도가 상당함을 시사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 조사결과 보수와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시설운영과 상사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낮은 보수로 불만이 많을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과는 다른 것이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낮을수록 소진수준이 높았다. 낮은 직무만족도와 높은 소진수준의 상관성은 주관적 소진단계에서도 확인되었다. 소진단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만족의 하위속성별 소진수준의 상관성도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직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는데, 이직의사가 큰 요양보호사일수록 소진수준이 높다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burnout level and the 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care workers. For the purpose, the care workers working in Senior sanatorium located in Danyang county, Chungbuk Province were sampled and surveyed with questionnaire. This analysis was composed of a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subjective level of burnout is very high. 3/4 of care workers felt burnout, and 15.7% of them thought they were in frustration level. Second, emotional exhaustion among the attributes of burnout was highest. It means the quality of burnout was not good either, because deep stress makes it. Third, the score of income and colleague among job satisfaction were relatively high, and the score of institution management and leader among them were low. It's different from a common notion that many care work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salary.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was verified. Care workers who have less job satisfaction feel high level of burnout. It was confirmed with subjective burnout either. Fifth, all attributes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Movement will among them has highest correlation. It means care workers who have strong will of movement show high level of burn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