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재가노인복지 관련 전문가 및 관심자를 대상으로 재가노인복지사업의 발전방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재가노인복지 관련 전문가 및 관심자 46명이었고 Q방법론으로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5개의 유형이 확인되었다. 5개의 유형은 재가노인복지 제도의 안정화(1유형), 재가노인복지 서비스의 통합적 관리 (2유형),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질 강화 (3유형), 차별화된 재가노인복지 모형 정착화 (4유형),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역량강화 (5유형)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서비스, 시설운영 등에 초점을 두고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주장하는 반면, 사회환경의 변화 속에서 재가노인복지의 자리매김과 역량을 강화하는 광의적 개념을 중요하게 보는 인식도 있어 양 입장을 고려한 재가노인복지사업의 방향 정립이 앞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재가노인복지사업 방향을 좀 더 명확히 이해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라는 테두리 내에서 재가노인복지사업의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ubjective perception types for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elderly home-care Service by Q methodology so as to recognize the directions of elderly home-care Service more clearly and to search for political measures to elderly home-care Servic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enior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A survey was made on 46 persons of elderly home-care related professional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five major sorts of subjective perception types for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elderly home-care Service : stabilization of the elderly home-care welfare system (Type 1),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elderly home-care services and (Type 2), enhancing quality of elderly home-care facilities management (Type 3), settlement model which distinguishes the elderly home-care (Type 4), empowerment of the elderly home-care programs (Type 5).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some recommend to look for a realistic and practical approach focusing on the directions of elderly home-care while others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a broad concept of well-positioning and building up the capabilities of the elderly home-care. Therefore, it is firmly believed that the directions of the elderly home care Services reflecting both ideas need to be form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