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주행위의 특성을 파악,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음주행위를 과음행위 , 폭음행위, 문제음주행위로 구분, 우울과의 관계를 2차 자료를 이용해 분석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Wisconsin Longitudinal Study로서 가장 최근에 수집된 2개 조사 시점의 자료를 분석했으며, 주요 연구문제의 분석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권고 기준 이상의 과음행위나 폭음행위의 경우 우울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으며, 오직 문제음주 행위만이 이전의 우울과 인구사회학적, 건강상태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우울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범주의 음주행위와 우울의 관계를 종단 분석한 본 연구는 음주와 우울에 관한 기존 가설들의 적용에 측정의 문제가 중요함을 제기했으며, 나아가 기존 음주-우울 관련 이론들이 측정 방법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함을 제안했다. 문제음주 행위의 우울에 대한 영향력이 입증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음주 행위를 보이는 중․노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의 사정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일선 의료기관 및 복지기관에서 상시적으로 문제음주를 측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입증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fold: 1) to examine what aspects of drinking behaviors are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d 2) t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s differ by gender. For examining these aims, this study utilized a logistic regression using a panel data of the Wisconsin longitudinal study(N=4,578). Only problem drinking among men was related to later depressive symptoms in the longitudinal analysis. No suppor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alcohol use/binge use and depressive symptoms was found in the current study. These results may reflect that what aspects of drinking behaviors are measu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could be different, and further, the association betwee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could vary across individuals who represent etiologically distinct subgroups. Overal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add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suggesting that individuals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represent a complex group with significant psychosocial consequences and treatment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