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별한 여성노인의 가구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와 그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2003년부터 실시된 한림고령자 패널 자료 중 1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배우자와 사별한 60세 이상의 여성노인 606명을 대상으로 노인단독가구, 기혼자녀 동거가구, 미혼자녀 동거가구로 구분하여 삶의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세 집단 간에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미혼자녀와 동거하는 사별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평균 2.76점으로 가장 낮았다. 회귀분석을 통해 미혼자녀와 동거가 삶의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별한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한 달 용돈 액수, 부모인 자신에 대한 만족, 자녀와의 관계, 사회적 활동모임 정도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구유형에 따른 사별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부모로서의 만족과 자녀와의 관계가 미혼자녀 동거가구의 경우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배우자와 사별한 후 미혼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여성노인의 삶에 대해 주목하고, 이들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부모로서의 만족도와 자녀와의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며, 이때 사회현상을 반영한 접근이 이뤄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widowed elder‘s life satisfaction among living alone, living with single adult offspring, and living with married adult offspring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predict life satisfaction of them. Using fist wave panel data from Hallym Aging Panel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606 elderly who were aged 60 and over, and bereaved of their spouse in Seoul and Chuncheon, 200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widowed elder's life satisfaction differences between living alone, living with unmarried adult offspring, and living with married adult offspring. Life satisfaction of widowed elders living with unmarried adult child was lower than those of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married adult child. Secondly, to the widowed elders, educa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amount of monthly pocket money, satisfaction as parents, satisfaction with relation of offspring, and social activity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ir life satisfaction. Finally, to the widowed elder with living with single adult offspring, satisfaction as parents and satisfaction with relation of offspring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ir life satisfaction.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pecial attention should paid to widowed elders living with single adult child to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increasing their satisfaction as parents. Indeed, social changes should be reflected on these approa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