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독거노인의 친구․이웃과의 상호 지원유형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원유형이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지원영역은 정서적, 도구적, 신체적, 경제적 영역을 포함하였으며 각 영역별로 지원유형을 상호형과 비상호형으로 분류하였다. 2008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독거노인의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건강변수를 고려한 상태에서 친구․이웃과의 사회적 지원유형이 우울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친구․이웃과의 사회적 지원유형은 정서적 영역에서 상호형이 79%로 가장 높았고, 도구적 영역 17.8%, 신체적 영역 15.1%, 그리고 경제적 영역은 2.2%로 가장 낮았다.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친구․이웃과의 연락빈도, 정서적 지원 유형, 성별, 종교, 교육수준, 월평균소득,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이웃과 더 자주 연락할수록, 정서적으로 이들과 상호 지원하는 유형일 경우 독거노인의 우울성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patterns with their friends and neighbors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areas of social support was composed of emotional, instrumental,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In addition, this study categorizes the social support patterns into two types; balanced exchange and non-balanced exchang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2008 National Data on the Elderly."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alanced exchange pattern is reported 79% in emotional area, 17.8% in instrumental area, 15.1% in physical area, and 2.2% in financial support area. Second, contact frequency, emotional exchange pattern, gender, religion, education, income, and self-rated health statu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depression.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have frequent contacts with friends and neighbors, and balanced emotional exchange are less likely to be dep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