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년남성(318명)과 중년여성(456명)을 연구대상으로, 노부모 ‘수발실천의지’의 관련요인을 탐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Amos와 Mplu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별비교를 위한 다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의 선행조건인 측정동일성(measurement invariance test)이 기각되어, 남성집단과 여성집단의 모형을 별도로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제시하였다. 표본의 남성과 여성이 척도의 내용을 동일하게 지각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회문화적 규범이 성별 간의 지각형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해주는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분석결과, ‘친밀성’은 ‘수발실천의지’ 뿐 만 아니라, ‘정서적 수발헌신’과 ‘수발효능감’에도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다. ‘정서적 수발헌신’과 ‘수발효능감’은 부모와의 ‘친밀성’이 ‘수발효능감’에 정적 효과를 미칠 때, 각각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였을 뿐 만 아니라, 매개의 매개효과인 이차매개(second order mediator) 역할을 하였다. 주요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는 남성집단과 여성집단 모두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성인자녀의 부모와의 ‘친밀성’은 성인자녀들이 노부모를 위해서 수발을 실천하려는 의지를 갖게 하는데 강력한 동인이 될 뿐 만 아니라, ‘정서적 수발헌신’과 ‘수발효능감’ 향상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젠더를 초월한 성인 아들딸들의 노부모 수발 역할공유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모색을 논의하였다.


With increasing social issues of related to the provision of care-giving services for the elderly who can not perform activity of daily living,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willingness of adult-children to provide care-giving services for their parents and its correlates. The primary concerns of the study focus on: (1) the direct effects of the individuals' intimacy toward the parent on their willingness to perform care-giving practices, their emotional commitment to care-givng, and efficacy in care giving roles; (2) the mediating effects of an individual commitment to care-giving and their self-efficacy for care-giving roles on their willingness to provide care-giving practice resulting from their intimacy towards their intimacy towards their parents;(3) the second order mediating effects of the two mediating variable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middle aged married males(318) and females(456) who have at least one living parents, residing in Daegu or Kyungpook province.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explored. Total indirect effect, each individual mediator's effect and the second order effect of two mediators(emotional commitment to care-giving and self efficacy of care-giving roles)are verified based on bias-corrected bootstrapping analysis using Mplu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