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노부모와 자녀와의 구조적․접촉적 결속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녀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고령자의 복지 실태와 복지 욕구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2010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자료이며 , 60세 이상의 노인 5,194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그리고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끝으로,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노부모와 자녀와의 접촉적 결속과 우울 사이의 관계에서 자녀관계 만족도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부모와 자녀와의 구조적 결속은 자녀관계 만족도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부모와 자녀와의 접촉적 결속이 높을수록 자녀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기초하여 노부모와 자녀와의 접촉적 결속을 높이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ucture․Associational solidarity of parent-child and depression of parents. A mediating model structured by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used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data was obtained throug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in 2010. The study analyzed 5,194 people over 60 years old. As research methods, frequency, descriptive, correlation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8.0 and structured equation analysis using AMOS 18.0 program were conducted. Additionally, a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e findings are follows: First,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function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ional solidarity of parent-child and depression of parents. Second, there turns out to be no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 between Family structure solidarity of parent-child and depression of parent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Associational solidarity of parent-child based on the conclusion Associational solidarity of parent-child ha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ducing depression of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