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을 독립변수로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그리고 감정부조화와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이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요양보호사 20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직의도와 감정노동, 감정부조화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이직의도와 직무만족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감정부조화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감정노동은 감정부조화와 직무만족의 매개를 통해 이직의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으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부조화 수준은 낮추고, 직무만족수준은 높이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eek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urnover intention of the care workers by analyzing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of the care workers, and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ve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To achieve the goal, a survey research was performed for 207 care workers in Seoul, Kyunggi and Incheon districts. The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turnover intention and emotional labor, emotive dissonance were verified with the positive(+) relationship, whereas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verified the negative(-) relationship. Second, the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whereas the emotive dissonance had a positive(+) influence. Third, the emotional labor was an antecedent of the turnover intention mediated by the emotive dissonance and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practical and politic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decrease their turnover intension, and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in long-term care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