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 은퇴 후 희망하는 노후생활의 유형은 어떠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 15개 지역의 인구수에 따라 할당표집을 통해 1955-1963년생인 베이비붐 세대를 표집하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1,01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희망노후생활유형은 일중심형, 자원봉사형, 여가활동형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결정짓는 예측요인은 크게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가족 요인, 건강 요인, 기타 관련요인으로 구분되어 투입되었다. 분석방법은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베이비붐 세대가 희망하는 노후생활유형은 여가활동형, 일중심형, 자원봉사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예측요인중 여성은 은퇴 후 자원봉사나 여가활동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일수록 일을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총소득이 높을수록 일보다 자원봉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부양부담요인에서 자녀교육비 부담이 낮을 경우 은퇴 후에 일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요인 중 질환이 없는 경우 일보다 자원봉사나 여가활동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일을 희망하였다. 은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자원봉사나 여가활동을 희망하는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대한 전략 수립과 고령화 대응정책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실천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deal retirement lifestyle of babyboomers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boomer's preferred lifestyle type. Proportional quota sampling method was used to recruit respondents based on the population of 15 area of South Korea. A total of 1,019 babyboomers who were born in years of 1955 to 1963 were used for the analysis. Preferred retirement lifestyle was classified into 'work', 'volunteer', and 'leisure activities' and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inancial, family caregiving burden, health, and other related variables were examined by multi-nomin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preferred retirement lifestyle of boomers was 'leisure activities' and followed by 'work' and 'volunteer'. Results indicated that women were more likely to choose 'volunteer' and 'leisure activities' as ideal type whileas men preferred to work. Higher income was associated with 'volunteer' type rather than 'work' type. Boomers who have less financial burden of educational expenditure for their children are likely to expect 'work' type. Those who do not have any disease preferred the 'volunteer' and 'leisure' type to 'work‘. However, better self-rated health status was related with 'work' type. Positive perception toward the retire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reference of 'volunteer' and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strategies establishment toward the forthcoming an aging society and babyboomer retirement. At the same tim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utilized for the practical intervention for successful aging of boo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