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노년기 대표적인 생산적 활동인 취업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의 변화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취업활동의 변화와 우울증상의 관계가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에는 전국 노인생활실태와 복지욕구조사의2008년과 2011년의 설문에 모두 참여한 9,781명이 활용되었다. 회귀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우선, 지속적으로 미취업 상태에 있었던 응답자에 비해 취업활동을 시작하거나 지속한 응답한경우 우울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취업활동을 중단한 응답자들은 높은 우울수준을 보였다. 두 번째로, 2008년이나 2011년에 자원봉사활동에 참여 한 응답자들은 자원봉사활동을 한 적이 없는 응답자들에 비해 낮은 우울수준을 보였다. 세 번째로, 취업활동의 변화와 우울 증상에 있어서 자원봉사참여의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원봉사를 그만 둔 집단에서는 지속적으로 일을 한 사람들의 우울수준이 지속적으로 일을 하지 않은 사람의 우울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산적 노화와 관련한 프로그램의 방향과 역할이론에 대한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transitions in paid work status,volunteering,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Korean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volunteering. Data were from 9,781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2008 and 2011 Survey of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Results from regression modelsindicated that first, compared to respondents who were continuously not employed those whostarted working or were continuously working showed reduced depressive symptoms, while thosewho stopped working revealed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Secondly, respondents whoparticipated in volunteering in either 2008 or 2011 showed decreased depressive symptomscompared to their never volunteered counterpart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hanges andpaid work and volunteering observed. Specifically, respondents who were continuously workingshowed greater depressive symptoms then the continuously not working counterparts amongrespondents who stopped volunteering. Implications on productive aging programs and theoryapplication were discussed. 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