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첫째, 은유 개념을 비롯한 근대 수사학이 수용되는 양상과 맥락을 살핌으로써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여기에 대한 답은 근대 전환기 개념 수용 과정에서 전통적 사유와 재래의 개념이 습합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대신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개념의 본래적 의미가 제한되거나 고착된 이유, 은유와 직유가 오랫동안 개념쌍을 이루어 문학적 위상을 갖게 된 사정을 실증하였다. 둘째, 은유와 직유로 배웠던 개념쌍을 새삼 은유와 환유로 바꿔 묻는 것은 왜일까? 또 이런 물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와 관련하여 예의 두 개념이 하나의 개념쌍으로 성립할 때, 언어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가능케 하고, 나아가 세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넓혀준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는 한국 근대문학의 의미를 개념적 차원에서 읽어내고, 핵심 개념을 교육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일본 수사학의 영향이 조선에 뚜렷한 모습으로 등장한 것은 시마무라 류타로[島村瀧太郞]의 『신미사학(新美辭學)』부터다. 물론 시마무라 역시 영국문학에 기반을 둔 수사학 이론 및 개념을 ‘미사학(美辭學)’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에 수용하였다. 순조롭지 않으며, 혼종적인 개념 이해 방식은 조선의 근대 수사학의 역사이며, 동시에 근대 작문학의 역사이기도 하다. 비유 개념 범주의 틀이 바뀌는 것은 해방 이후 김기림(金起林)이 현대 수사학을 정초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일본을 통한 수용이 불가피했지만 조선의 상황에 맞게 수사학의 개념을 변용하거나 개념 범주를 체계화하였다는 점이다. 직유와 은유의 개념쌍은 이러한 과정의 산물이었던 셈이다. 은유와 환유의 맞짝 개념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달리 개념적 원리뿐만 아니라 사유방식의 차이를 전제로 한다. 이러한 맞짝 개념의 원리와 구조의 차이는 야콥슨(Jakobson)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이런 식의 이해가 가져온 중요한 장점 가운데 하나는 은유와 환유의 개념쌍이 언어학에서 비롯되었지만 언어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넘어 사유 구조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야콥슨부터 데이비드 로지(David Lodge)로 이어지는 논자들 대부분은 아리스토텔레스 이래의 은유중심주의가 지닌 단순성을 극복하고 비유와 사유의 다양성을 두 개의 축으로 정립하였다. 은유와 환유의 개념쌍이 제기하는 중요한 지점 가운데 하나는 환유의 재인식이다. 환유의 개념이 환기하는 사유의 확장과 그것이 산문적 현실에 제공하는 적용 가능성이다. 현행 교육과정 및 검정 교과서 체제 안에서 은유와 직유의 개념쌍과 비유의 개념 범주 이해는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사실상 마무리된다. 이 글에서는 유사성 원리와 명시성의 유무로 설명하는 은유와 직유의 개념쌍은 유사성과 인접성의 원리로 작동되는 은유와 환유의 개념쌍으로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며, 오히려 오늘날 그 필요성이 높아진 환유 개념의 확장적 이해로 나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산문의 세계에서 갖는 은유와 환유의 사례 및 환유적 상상력의 발현을 강조하였다.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this study was derived from the followings: first, what one can obtain by examining the patterns and contexts of modern rhetoric being accepted including the metaphor concept? Answers to the question can be answered by looking into the patterns of the traditional concepts of thinking and transmission being combined together in the acceptance process of concepts of modern transitional period. The process would also allow one to demonstrate the reasons why the original meanings of concepts were restricted or fixated and the circumstances behind metaphor and simile claiming a literary status by making a concept pair for many years. Second, why does one convert the concept pair learned in metaphor and simile into metonymy for questioning? What does such a question mean? Trying to answer the question, the study mainly demonstrated that when two concepts establish a single concept pair, it can enable a contemplation over the essence of language and further broaden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the world. In addition, such discussions can read the meaning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t the conceptual level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education of core concepts. It was in Shinmisahak by Shimamura Ryutaro that the influences of Japanese rhetoric became apparent in Joseon. Shimamura, of course, introduced the theories and concepts of rhetoric based on English literature in the name of "Misahak." The ways of understanding hybrid concepts that were not smooth reflect the history of modern rhetoric in Joseon and also that of modern writing studies. It was after Kim Gi-rim established contemporary rhetoric after Liberation that the framework of trope concept category changed. What was important was that they changed the concept of rhetoric or systemized the concept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Joseon even though it was inevitable to accept it through Japan. The concept pair of simile and metaphor was the product of that process. The homologous pair concept of metaphor and metonymy is on the premise of differences in thinking ways. The differences in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homologous pair were systemized by Jakobson. One of the most important advantages brought by that way of understanding was that the concept pair of metaphor and metonymy originated in linguistics but could expand to a thinking structure beyond the contemplation over the essence of language. Most debaters from Jakobson to David Lodge overcame the simplicity of metaphor-centricism since Aristotle and established the diversity of trope and thinking in two axes. One of the critical points raised by the concept pair of metaphor and metonymy is the re-perception of metonymy, which involves the expansion of thinking aroused by the concept of metonymy and applicability provided to the prosaic reality. Under the current curriculums and authorized textbooks system, the understanding of concept pair of metaphor and simile and the concept categories is completed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present study maintained that the concept pair of metaphor and simile, which is explained with the principle of similarity and absence and presence of explicitness, should be replaced with that of metaphor and metonymy, which operates in the principles of similarity and adjacency, and that it should move toward the expansive understanding of metonymy concept whose need had been raised today. The study particularly emphasized the manifestation of cases of metaphor and metonymy and metonymical imagination in the world of pr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