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37년부터 38년 사이 진행된 ‘상록회’ 검거 사건은 일제강점기 후반 민족운동을 위해 결성된 비밀결사에 대한 탄압의 예이다. 본 연구가 ‘상록회’ 사건에 주목한이유는 이 비밀결사가 문학 작품을 윤독하는 과정에서 민족주의적 시각이 싹 텄고, 특히 소설 작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민족의식을 높이는 사상서로 활용했다는 점 때문이다. 본고가 확인한 결과 ‘상록회’ 회원 38명에 대한 경찰과 법원의 신문 및 공판 기록을 통해 전체 82권의 도서가 윤독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39권이 문학 작품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 문학 작품 가운데에는 34편의 소설이 포함되어있었으며, 결사의 회원들은 이 작품들을 중심으로 회원을 확충하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에 활용하였다. 특이한 점은 이 소설 작품들 가운데 대중소설로 분류되는 것들도 상당수 있었다는 것이다. 본고가 그 이유를 분석해본 결과 이들 소설 작품들은 적극적인 독서회 독자들에 의해 목적성 있게 활용되었고, 통속과 대중, 역사소설이라는 갈래와는 무관하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윤독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사실은일제강점기 소설 연구에 있어서 대중적 성격을 지닌 소설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시각을 다각화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만들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e ‘Sangrokhoe’ arrested case conducted since 1937 among 1938 is an exampleof the suppression of secret organization organized for national movement in thelate of the Japanese occupation. The ‘Sangrokhoe’ case is noted because this secretorganization had occur nationalist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alternately readinga literary. In particular, the active use of the novel works were utilized to raisenational consciousness. In the police and the trial court's interrogation and trial recordsfor Sangrokhoe' member 38 people, was confirmed that 82 of the books had beenread alternately. And it found that 39 works close to half of these were literature. Among the literary works, 34 novels were included. And these works were utilizedto expand their membership and inspire the national consciousness. Notably, there are many things that could be classified as a public novel amongthe nove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asons, these novels were purposefullyutilized by aggressive readers of the book club, and if could inspire nationalconsciousness, these books were read regardless of classification of public, historicalfiction. These facts can be presented through a new perspective that is able to diversifyexisting studies perspective in the study of Japanese colonial popular no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