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치적으로 4 ․ 19혁명이 ‘사건’이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것을 문학이 어떤방식으로 수용했는가는 불분명하다. 알랭 바디우는 ‘사건’ 개념과 진리의 공정을제시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제공했다. 진리는 ‘사건’에 의해 촉발되고, 사건은 내재된 것들의 우연한 출현으로써 잉여적 존재를 소환한다. 그리고 이들의 출현은 이전의 지배언어와 지배질서가 만든 위계와 정체성을 파괴한다. 랑시에르가 ‘감성의분할’이라고 부르는 이 새로운 식별체제는 공식화되어서는 안 된다. 진리는 가변항이기 때문이다. 랑시에르에 따르면 ‘문학의 정치’는 문학이 그 자체로 정치행위를수행할 때 가능하다고 했다. 본고는 이를 문학적 진리 공정으로 번역하고, 이것을 ‘사건’으로서의 문학을 탐색하는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우연적 사건으로 인한 잉여적 존재의 출현을 탐색해야 한다. 둘째, 이들의 목소리가 어떤 문체와 형식으로 ‘탈계급화’의 모습을 보이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셋째, 끊임없이 결정불가능성에 개입하는 것이 사건에의 충실성이듯 문학이 끊임없는 감성의 분할을 시도하는가가 그 마지막 공정이다. 그리고 이때 문학은 ‘도대체 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탈정체화된 질문을 스스로 던지게 된다. 본고는 이를 1960년대의 문학을 대표하는 최인훈의 소설에 나타나는 반복되는 서사구조의 특이성과 주체의 언어에 적용함으로써 문학적 진리공정의 가능성을 묻고자 한다.


Politically, it is obvious that the 4 ․ 19 revolution was ‘event’. But it is unclearhow literarily, revolution was accepted. According to Jacques Ranciere, ‘Politiquede la Litterature’ can be possible when literature perform the political behaviour itself. In this respect, appraisal of 1960's literature that was discussed in terms of emergingnew sensibility must be reconsidered. Alain Badiou proposes concept of ‘event’ andprocess of truth, thereby providing the possibility. Truth is triggered by ‘event’ and‘event’ as an adventitious emergence of something immanent makes the redundantexistence. And, the emergence of this things disrupts the order of ranks and identitywhich was created by the dominant language and ruling order in former times. Discernment system that Jacques Ranciere calls ‘Le partage du sensible’ should notbe formulated. Because truth is variable section. This manuscript translates it into process of literary truth and proposes methodologyresearching the literature as an ‘event’. First, we will research the emergence of thesurplus existence by adventitious event. Second, we will look how these voice make‘Declassing’ figure by what kind of style and form of writing. Third, as consistentlyintervening in undecidability is loyalty of truth, we study the process about whetherliterature attempt consistently ‘Le partage du sensible’ or not. So, as this methodologyapply to the a representative novel of Choi, in-hun in 1960's, we will ask the possibilityof process of literary tr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