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에서 문맥을 벗어나거나 어법을위반하는 부분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헤아리려는 시도이다. 사랑의 연가로 읽히기도 하고, 외로운 독백으로 읽히기도 하는 이 시에서, ‘가난한 현실’과 ‘행복한 상상’을 구분하는 것은 백색 이미지이다. 행복한 상상은 곧 녹을 ‘흰 눈’ 위에 펼쳐지며일시적인 것임을 드러내고, 화자는 급한 마음이 드러나는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하여 행복한 상상을 연출한다. 시인은 또한 개별적인 현상을 인과적으로 연결시키고, 삼인칭을 대상으로 이인칭과 호응하는 청유형 어미를 사용하고, 절대적 존재에게 상대성을 환기하는 한정보조사를 붙인다. 문맥과 어법을 벗어나는 그곳에는 어김없이 남루한 현실이 모습을 드러냈다. ‘더럽고 가난한’ 현실이, 행복한 상상에 불안을 제시하고 문맥과 어법에 어긋나는 말을 등재시킨 것이다. ‘위태로운 행복’을 연출하는 「나와 나타샤와힌당나귀」에는 지속적으로 현실과 상상의 분할선이 교란되어 있다. ‘상상 속 현실’과 ‘현실 속 상상’이 그 안에 상정되어 있는 것이다.


In the White Donkey, Natasha and Me by Baek Seok, which is interpreted asa love song or a lonely monologue, white image distinguishes ‘poor reality’ and‘happy imagination.’. Happy imagination is spread on ‘white snow’ which is meltingsoon, and revealing its temporariness. The speaker uses onomatopoeic and mimeticwords, whoch show hurrying, producing happy imagination. The poet also connects individual phenomenon causally and, use propositiveendings, which originally correspond to the second person, with third person andadds limiting particles, which contain meaning of relativity, to the absolute being. In the parts out of context and usage, ragged and poor reality always shows up. ‘Dirty and poor’ reality suggests to anxiety to happy imagination, breaking awayfrom context and usage. In The White Donkey, Natasha and Me, producing ‘riskyhappiness’, partitioning lines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continues to be disturbed. ‘Reality in imagination’ and ‘imagination in reality’ are assumed in the po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