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의 과거 소매유통업은 소규모 자본에 의한 노동집약적이며 노하우 집약적인 성격의 중소기업 형태로 운영되었으나 1990년대 대형할인점의 등장으로 소매 유통업은 대규모 자본이 필요한 장치산업적 성격이 강한 자본집약적 대기업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따라서 자본 규모의 증대와 더불어 대형 소매유통업체들의 자본 조달방법과 자본구조의 성격 등에 대한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존 기업의 자본구조와 자본조달에 관한 이론으로는 정태적 절충이론과 순서이론, 기타 산업조직적 관점에서 설명을 시도한 이론 등이 있으나, 소매유통에 연구의 초점을 맞춘 자본구조와 조달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기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론들이 국내 대형 유통업체의 자본구조 및 자본조달 행태를 얼마나 잘 설명할 수 있는가와 국내 대형 유통업체들에게 적합한 자본조달 전략은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자본구조와 자본조달 이론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대형 소매유통업체들은 부채비율의 관리보다는 장기자본의 관리를 더 중요시하여, 이들의 자본조달 행태가 장기자본의 대규모 조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Retailing in Korea in the past was in general small-scale, labor-intensive business. However, since large discount stores were introduced in 1990s, retailing in Korea has been changing to became large-scale, capital-intensive business. Consequently, financing aspect of retailing such as capital structure of the retailers and their financing practices becomes more important to run a retailing business and deserves more extensive research. The amount of academic research on the financing aspects of retailing, however, has been extremely limited. This paper closely examines alternative aspects of capital structures among the four largest Korean retailers to discover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ir capital structures and financing practice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ratio of short-term capital to long-term capital, which consists of equity and long-term debts, is much more important to the large retailers than the simple ratio of debt to equity, though it does not mean debt-equity ratio is not important. This paper also shows that the existing capital structure theories could partly explain the capital structure phenomena and financing practices, though industrial organizational and/or industry-specific characteristics could better explain the capital structures and financing practices of the large Korean retail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