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value ofbeauty service, positive emotion, and store loyalty. To achieve the purpose, precedent studies wereexamined by theoretical background to establish hypotheses for a solution to study problems. Andthe hypotheses were empirically analyz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the LISREL was used to carriedout. The major findings of this paper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ed:First, aesthetics, amusement and excellence of beauty service valu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effect on positive emotion. Second, positive emo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tore loyalty. Consequently, to improve positive emotion and store loyalty from beauty services, serviceproviders have to provide customers with value-oriented services.


본 연구는 미용실에서의 미용서비스에 대한 소비들의 지각된 가치에 따른 긍정적 감정, 점포충성도와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설계하여 각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미용서비스의 지각된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심미성, 유희성, 우수성 등 3개 요인의 외생변인과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 점포충성도 등의 내생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들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미용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긍정적 감정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은 점포충성도에 대해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조적 관계모형은 충분한 가설관계를입증하였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