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directed at investigating the structure of psychic distance to provide scholars and industry managers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psychic distance. This study is also provides a scale for measuring psychic distance, which can be specifically applied to overseas holiday market in pract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an online panel of a research company in South Korea. A total of 438 complete and usable responses were used. An exploratory PCA using an oblique rotation was undertaken. To achieve a rigorous scale development, this study has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stricter interpretation of dimensionality. Multiple measurement indices were reviewed to find the best model that represents the structure of psychic distance. This study suggested that a single second-order model with three first-order factors is the most valid framework for the psychic distance construct. The three first-order factors are “Knowledge”, “Trust’, and “Attractiveness”. Regardless of geographical distance, tourists are likely to feel close(or far) towards a destination based on prior knowledge, attractiveness, and trust towards a destination. These dimensions should be considered in a holistic way and action them through integrating to manage psychic distance. This study employed panel members obtained from an online research company in South Korea, which may draw some concerns from researchers. It would be valuable if future study included potential travellers as well as the experienced. The results may differ if potential travellers are included in the survey, as this study only included those who have travelled overseas for leisure. Future studies are recommended to include various destinations when investigating the role of psychic distance in tourism. This study contributes the body of knowledge on psychic distance as it provides a scale that measures individuals’ subjective gaps between two cultures, which have rarely been provided in prior research. Besides, this study imply that psychic distance have a possibility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study theme in distribution area.


특정 장소 혹은 특정 브랜드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거리감(psychic distance)은 매우 주관적이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심리적 거리감은 반드시 실제적 거리감과 비례하지 않으며, 특정 브랜드나 장소에 대해 한 개인이 느끼는 심리적 거리감은 개인의 사전 경험이나 신념 그리고 문화적 환경과도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심리적 거리에 관한 보다 면밀한 조사와 이해가 필요하지만,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심리적 거리에 관한 유통 및 관광마케팅 측면에서의 이해도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거리에 관해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하여 질적 및 양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고, 최종적으로는 심리적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심리적 거리의 하부요인을 밝힘으로써 유통 및 관광 관점에서 소비자를 보다 더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본 연구는 심리적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항목을 제시하였다. 총 11항목으로 구성된 본 측정 항목을 사용함으로써, 마케터는 실제로 자신이 홍보하고 있는 장소나 업태에 대해 잠재 고객이 얼마나 가깝게 혹은 멀게 느끼는 지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잠재고객을 분류하고 각 집단에 적합한 차별적 마케팅 전략을 구상한다면 보다 더 효과적인 소구 방법이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심리적 거리감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인프라’ (Infrastructure) 구축의 중요성을 밝혔다. 소비자를 위한 시설을 포함하여 기본적인 사회적 기반시설은 소비자와의 감정적 거리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매력성 (Attractiveness)’ 과 ‘지식 수준(Knowledge)’도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감정적으로 특정 장소 혹은 브랜드를 얼마나 좋아하는가, 그리고 얼마나 잘 알고 있는가의 여부는 실제 지리적 거리와는 별개의 요인으로 심리적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 관광 브랜드에 관한 이미지 관리 및 인지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홍보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심리적 거리는 유통업에서 중요한 연구주제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이 도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