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잠자는 미녀 문제의 교훈으로서, 제프리의 조건화 규칙을 수정해야 한다는 견해부터 루이스의 주요 원리를 수정해야 한다는 견해까지 다양한 논제들이 여태 제안되었다. 이러한 제안들을 거부하면서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점들을 주장한다. 첫째, 확률 또는 믿음직함을 매기는 주체는 자기 나름의 시공간을 재설정한다. 통상의 경우 주체의 시공간은 경험을 통해 상호주관 시공간 또는 공공 시공간과 손쉽게 동기화되지만, 잠자는 미녀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둘째, 잠자는 미녀가 깨어난 후 정보를 얻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잃는데, 그는 그 자신의 시공간과 공공 시공간을 동기화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잃어버린다. 셋째, 기억을 잊거나 정보를 잃는 경우, 조건화 규칙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조건화 규칙은 기존 정보가 유지되는 한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일요일에서 월요일을 거칠 때 미녀의 믿음직함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알기 위해 조건화 규칙을 적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 넷째, ‘나’, ‘지금’, ‘여기’ 등과 같은 지표가 포함된 문장을 다루기 위해, 별도의 조건화 규칙을 고안할 필요가 없고, 대신 지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기존 조건화 규칙을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다섯째, 미녀의 답변이 1/3이어야 한다는 견해는 거의 일어날 수 없는 기적 같은 일이 늘 있는 하찮은 증거에 의해 입증된다는 귀결을 품고 있다.


As lessons of the Sleeping Beauty problem various theses have been proposed, from the view that we must modify Jeffrey’s conditionalization to the view that we need to restrict the principal principle of Lewis. This paper, while rejecting such proposals, asserts the followings. Firstly, subject who has the probability function or the credence function resets her own space and time. While, in common case, subject’s spacetime is easily synchronized with intersubjective spacetime, or public spacetime, with the help of experiences, but not in the case of Sleeping Beauty. Secondly, when Sleeping Beauty awakes she does not obtain but loses some information, such as the information that is required to synchronize her own subjective spacetime with public one. Thirdly, if Sleeping Beauty loses information, she should not use Bayesian conditionalization. Fourthly, thirder’s calculation such as Elga’s has strange implication that a miraculous hypothesis can be confirmed by a very trivial ev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