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식민지의 민족주의 담론과 제국주의 담론의 동일성과 차이를 분석하려는 글이다. 여성성의 재규정을 분석하여 동일성과 차이를 밝히려 하는데 여성성과 남성성의 대립쌍은 가장 오래된 비유로 민족간 위계만들기를 자연화할 수 있는 대표적 기제이기 때문이다. 민족주의 서사가 여성성의 재규정을 둘러싸고 담론적 경쟁을 하는 현상도 민족주의의 성격을 규정하는 데 여성성의 재규정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반증한다. 이 논문에서는 제국주의 담론의 철저한 모방이라 할 수 있는 친일문학과 그에 대한 저항을 담고 있는 작품을 비교하여 여성성의 재규정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았다. 친일문학의 경우 이기영의 처녀지는 남녀계몽구조로 민족간 위계만들기를 서사화하였다. 또한 한찬숙의 초원은 제국남성의 구원신화로 제국주의를 구원자로 비유해냈다. 그 반면에 한찬숙의 대륙은 남녀 계몽구조를 역전시켜 민족간 위계를 흔드는 효과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차이들을 세밀히 분석해가면 식민지 민족주의 서사에 드러나는 동일성과 차이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Creating Ethnic Hierarchies and Gender Politics Lee, Sun-Ok This article interrogates how nationalist discourse and colonialist discourse often intersect despite their ostensible differences. One can argue that the binary of masculinity and feminity is the oldest and the most familar rhetoric of difference, which can, in turn, naturalize the hierarchies between races, ethnic groups and nations. Therefore, both nationalist and colonial discourses have invested great efforts in incessantly defining and redefining feminity. Without successful manipulation of feminity, neither colonial project nor nationalist struggle could be legitimized.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 how pro-Japanese literatures differently defined feminity from anti-Japanese nationalist literatures. Among the pronationalist literatures, this old rhetoric of male-female hierarchy enabled Lee Ki-young's Chonyoji (virgin land) to legitimize the colonial ethnic hierarchy, and Han Chan-sook's Chowon (grassland) to symbolize imperialism as a savior. In contrast, reversion of gender hierarchy in Han Sul-ya's Daeryuk (continent) resulted in destabilizing ethnic hierarchy. By carefully examining subtle differences among these literatures, this paper aims to rethink the sameness and difference between colonialist and nationalist disco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