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오월광주-시의 주체화 메커니즘을 젠더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그 의미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 첫 번째로는 화자의 두드러진 존재감과 언어의 상징적은유적 기능이 복합적으로 연관되는 양상을 살폈다 . 이념-공간으로서의 ‘광주’와 가족화된 여성 어휘는 상호지시적 관계를 통해 ‘시적 오월광주’라고 할 만한 세계를 창출한다 . 이때 '여성'은 오월광주를 의미화언어화하는 주체에서 배제된다. 다음으로는 5월 비극의 전형으로서 ‘젖가슴이 잘린 여학생’과 ‘대검에 찔려’가 가장 자주, 그리고 반복적으로 선택되는 이유를 검토하였다 . ‘젖가슴이 잘린 여학생’을 표상하는 데에는 일차적으로 성적 순결함에 대한 이념이, 그리고 ‘대검에 찔려죽은 임산부’의 표상에는 가부장적 정상 가족에 대한 이데올로기가 개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이때 국가권력에 저항하는 정치적 주체화는 가족을 보호하는 가부장적 주체화 과정과 동일시된다 . 젠더 정치학의 관점에서 볼 때 오월광주 -시는 보수적인 경향을 지닌다 . 가족 이데올로기는 텍스트 전체를 관할하는 강한 구심력으로 작동하며 공 /사 영역에 남성/여성을 배치한다. 마초적인 당대 지배권력에 대한 저항은 , 그 지배권력의 작동 기제를 일부 복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고정희의 「프라하의 봄 8」은 이 아이러니를 넘어서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시이다 . 오월광주에 대한 일정한 해석과 의미 부여를 거부하는 이 시는 , 오월광주를 의미화하는 주체들이 피하고 싶어 한 ‘외상적 중핵’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aimed to survey how works the mechanism of subjectivation in poetry about 'the 5.18 Gwangju Democratic Uprising' from gender-perspective. Firstly, this study stressed the problem of lyric narrator's overwhelmed position, connected with symbolic and metaphoric function of language. May-Gwangju as ideological chronotope turns into female gender character in many poems, and female gender functions as constitutive outside. 'She' was isloated from semantic construction of poetry. Secondly, this study noticed that patriarchal system appeared in poetic lexicon and semantic structure. Political subject against despotic state is identified with patriarch who performs the duty to protect his family. It can be said that many poems about 'the 5.18 Gwangju' are obviously conservative from perspective of gender-politics. Patriarchal ideology works as main force of construction of poetry. Resistance against violent state makes a copy of manliness that is a special feature of ruling authority. <Spring in Prague 8> written by Ko Jeong-hee is an example which has potentiality to overcome this mechanism. "May-mad woman" in this poem is a multivocal and ambiguous semantic chora or traumatic core that everyone wants to be avo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