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920-30서 수용되고 재구성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식민지 근대 , 연애의 역사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1920년대 영육일치의 연애와 연애지상주의의 포문을 열었던 엘렌케이의 연애론의 특징과 한국 내의 수용양상을 살피고 , 엘렌 케이를 계승하면서 연애를 일종의 초월적 이데올로기로 승격시킨 구리야가와 하쿠손의 연애론을 분석하여 그것이 조선 내 지식인들의 연애론의 근간으로 재구성되는 양상을 추적하였다. 또한, 1930년대에 이르러 부르주아식 연애로 비판된 엘렌케이와 하쿠손의 연애론을 대체하여 프롤레타리아 연애의 모델로 등장한 콜론타이의 급진적 연애론이 담론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실의 장 속에서 연애가 구현되는 양상을 통해 , 연애를 둘러싼 이상과 현실 사140 여성문학연구 19이의 간극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 이러한 1920-30년대 연애 담론의 지형과 현실 속의 연애에 대한 탐색을 통해 , 본고는 근대 연애론이 민족 , 젠더, 계급, 자본 기제와 충돌하면서 균열을 일으키는 지점을 제기하고 , 나아가 근대 연애를 구성한 이데올로기와 판타지의 이면을 성찰하고자 하였다 .


This paper intends to quest for the historical meaning of modern love in colonial Korea by looking into the reception and reconstruction of discourses on love from the Western Europe via Japan. First, I examine the multi-layered features of Ellen Key's book on love and that of Kuriyagawa Hakuson who succeeded to Ellen Key's concepts and thoughts and elevated her ideas on love into transcendental ideology, which became the ground of general idea on love at that time. Furthermore, I deal with the radical discourse on love by Aleksandra Kollontai presenting the model of proletarian love replaced by Ellen Key or Hakuson's love which was criticized as the bourgeois's love. Also, I illustrate the realization of modern love in actual life, which produced various refractive and contradictory results. Through the topography of discourses on love and the actual application in 1920-30s' Korea, I try to show how the ideal modern love combined with the prospect of women's liberation collided with the gender and class system and how the value of love were diminished or removed by being incorporated into the discourses on monogamy, nation, and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