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950·60년대의 대표적인 여성잡지인 『여원(女苑)』에 나타난 여성소외 계층에 대한 담론 형성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국가 재건 프로젝트가 철저히 이중화된 담론으로 일상을 규율하고 있다는 점에 집중해 보았다. 이 연구는 1960년대의 근대화 프로젝트가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되었으며 또한 일상 속에 그 사회적 담론이 어떻게 파고 들었는가하는 문제에 대한 실마리를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여원』은 도시 중산층이라는 한정된 계급을 주 독자층으로 산정하여 편집된 잡지이다. 이 가운데 잡지에 등장하는 소재들은 도시 중산층의 관점에서이분법적으로 나뉘어 서로 길항관계를 이루며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 『여원』은 산업화가 가속화되어 가는 가운데 소비의 주체가 된 여성에 대해 박정희 정부의 정치적인 입장에서 규제를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여원』은 표면적으로는 여성의 권익 신장이나 주체적인 자각에 대한 의식을 표방하고 있지만 이는 도리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심화시키는기제를 은폐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작용할 뿐이다. 식모, 여공, 여차장, 윤락여성 등 여성 소외 계층을 다루는 논의에 숨겨진 의도는 여성독자에게‘낭만적 사랑’에 만족하는 ‘현모양처’, ‘스위트 홈’의 건실한 주체자로서의 위치가 가장 행복한 것이며 이상적이라는 것을 내면화하게끔 하는 것이다. 또 여성 소외계층 대상을 다루는 취재 기사나 르포 속에 나타난 서술자와 취재 대상간의 관계는 가부장적인 사회질서에 따라 구성되어진 권력관계의 단면을표상한다. 그리고 『여원』은 이런 설정을 반복하여 등장시킴으로써 중산층 여성독자에게 자신의 계급적 위치의 안정감을 재확인시켜 국가 정책에 충실한현모양처가 될 것을 강조한다. 결국 여성지 『여원』은 국가 시책에 호응하는현모양처를 훈육하는 매개체로써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takes a closer look at the process of how the discourse on marginalized females was formed, based on what was reflected in Yeowon, the representative women's magazine in the 1950s and 1960s. This study seeks insight into the modernization project of the 1960s and how its social discourse penetrated people's daily lives. Yeowon targeted the limited group of the urban middle class as its main reader base. Against this backdrop, it was only natural that materials covered in this magazine were judged dichotomous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rban middle class. Cities versus farming areas, the capital of Seoul versus rural areas, the educated versus the uneducated, housewives versus working women, Western values versus traditional values, these dichotomous sets of idea had antagonistic relations with each other, establishing themselves as the magazine's main discourses. With the coming of the 1960s, rapid industrialization and a more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Yeowon took the job of disciplining women, who emerged as major consumers, in line with the government policies under President Park Chung~hee. Ostensibly, Yeowon claimed to be promoting women's awareness of empowerment or independent awakening. This, however, was nothing but a strategy to conceal a mechanism that rather strengthens patriarchal ideologies. The hidden intention behind the magazine's discourses on marginalized females, house maids, female factory workers, conductresses and prostitutes was to make its female readers internalize the ideology that being a “wise mother and good wife,” who feels gratified with a “romantic love,” and steady, main builder of a “sweet home” is the happiest and most ideal life.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viewer and interviewee in its feature articles or in~depth reports on marginalized females symbolized the power relations formed in accordance with patriarchal social order. By publishing such articles repeatedly, ultimately Yeowon educated middle~class female readers to recognize their class status and become “wise mothers and good w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