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월간 여성잡지 「여원」에 실린 번역을 통해, 다양한 차원의 시․공간을 대상으로 수행된 ‘번역’이 그 이질성과 차이를 봉합하며 대중적으로 유통되고 수용되는 소통의 역학을 젠더적 관점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여원」에 수록된 번역문학은 크게 소설, 수기, 위인전기, 동화 등으로 구분할수 있는데 주로 미국, 영국을 비롯하여 프랑스, 독일, 덴마크,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러시아 등 유럽 국적의 작가와 과테말라, 브라질, 칠레 등 남미출신 작가, 그리고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적 작가의 작품들로 채워져 있다. 이들 번역문학은 17C 중국의 청나라 때 작품으로부터 「여원」이 발행되던1950, 60, 70년대 당대 작품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에 걸친 다채로운 국적만큼이나 광범위한 시대에 걸쳐 있다. 이처럼 「여원」의 번역문학은 매우 넓은 시․공간에 걸쳐 있어 그 사이에서 국가 간 정보의 이동과 변화, 혼종이 활발하게 일어났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여원』이 발행되는 1950년대~70년대는 전쟁의 피해를 복구하려는 전후의재건 활동이 필요불가결 했던 시기였다. 재건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새로운국가 건설에 대한 욕망은 세계를 향한 다양한 정보 입수에 대한 욕망을 부추겼다. 민족의 전통적인 문화와 가치관이 더 이상 ‘역할 모델’이나 ‘삶의 정향’이되지 못하는 와중에, 「여원」이 기획하고 실천했던 ‘번역’은 전통에서 근대로,토착적인 것에서 외래적인 것으로의 변화가 생산되기를 바라는 기대 심리를불러 일으켰다. 번역이란 널리 알려진 대로, ‘타자의 언어, 행동양식, 가치관 등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를 파악하여 자신의 ‘맥락’에 맞게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행위이다. 번역은 원작(the original)을 다른 언어로 옮기는 행위지만, 정작 옮김의대상이 되는 것은 언어 그 자체가 아니라 원작 속에 잠재되어 있는 가능성이다. 따라서 번역 발신 텍스트의 이국성과 이질성은 번역을 통해 이러한 문제적국면을 넘어 상호 교통과 교류를 견인해낼 수 있는 새로운 소통 모델의 개발로 나아감으로써 해소가 가능하다. 그런데 「여원」에 개재된 번역은 원본 속에 잠재되어 있는 역사적 가능성을찾아 해방의 길을 모색하는 새로운 소통 모델의 개발로 나아가지 못하고 상당부분, 기존의 사회질서와 의미질서에 현대적인 외피를 입혀 공고히 함으로서잔여태로 존재하도록 인도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여원」 발간 초기에는 개체적 존재로서의 여성의 삶에 주목하는 듯 했으나 점차 미혼 또는 비혼 여성과결혼한 여성을 구분 지으면서 특히 결혼한 여성은 아내와 어머니라는 상징적역할을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를 더 많이 발산하고 있다. 이로써 여성은 스스로 아름답게 갈고 다듬거나 쾌락을 향유하는 존재로서가 아니라 남성이나 가정, 육아를 위해서 지원되고 마모되어야 하는 기능적인 존재로, 여전히 탈신체화되고 상징화되는 길을 가는 것이 보다 더 긍정되는 양상을 보인다. 「여원」의 이러한 보수성은 역으로 ‘현명한 아내’, ‘희생의 어머니’라는 기존의가부장적 관념에 길들여진 대다수의 많은 한국 여성들에게 여지껏 자신을 안전하게 유지시켜주었던 전근대적인 심리적 보호막을 여전히 지켜갈 수 있다는 안정감을 줌으로써 외상적 박탈 없이 낯선 이국성과 편안히 조우할 수 있는유용한 길잡이가 되기도 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from a point of gender, the mechanics of communication in which 'translation' sutured the differences and was circulated through and adopted by the public,through the translation literature carried in the monthly magazine 'YeoWon'. The translation literature carried in 'YeoWon' can be classified into novels, memoirs, biographies of great person, fairy tales mostly from Western countries such as USA, UK, France, Germany,Denmark, Italy, Spain, Portugal, Russia, South America such as Guatemala, Brazil, Chile and Asia such as China, Japan etc. This translation literature was diverse from 17th century Ching Dynasty stories to modern literature of 1950th, 1960th and 1970th. It could be understood that such a various translation literature in 'YeoWon' has made active transfer, variation and mutation in a wide range of space and time. Even though the readers of 'YeoWon' were limited to women,30,000 copies were sold monthly and became very popular in 1960th, recording the second rank among all magazines published in Korea. 'YeoWon''s popularity had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increase of the desire for the book purchase due to the 'Reading Week Event' made by the libraries from 1954 and the governmental movement of reading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 Education and the Library Association from 1957. Thanks to such a reading movement, 'YeoWon' could be regarded as a 'good book' requiring the higher academic condition in spite of its character of commercial and public magazine. 'Yeowon' was treated as the cultural book and a kind of required reading book for higher level women. Years of 1950s to 1970s when 'YeoWon' was published were the time during which discussions occurred on woman's position and role under the concept of 'equality'. But most translated novels showed some features such as 'sacrifice' or 'endurance' in order for women to be treated as the same as the men. It means that the translated novels were not closely linked with the real world. What was pursued by 'YeoWon' was not individual happiness under the gender culture but women's roles under the totality for the construction of new Korea. Years 1950s~1970s were the era of re-construction after the Korean war. The necessity of re-construction triggered the desire for the new nation followed by the desire of various information towards the world. While people's traditional culture and the sense of value were no longer treated as a 'role model' or 'direction of life', 'translation' done by 'YeoWon'caused the expectation of change from tradition to modernity, from aboriginality to foreignism. As one knows well, translation means an activity of creating the new meaning along the 'context' after understanding the cultural meaning inside the foreigner's language, behavior and sense of value etc. While translation is an act of translating the original into another language, the object of translation is not the language but the potential inside the original work. Accordingly, the problem of translated version's heterogeneity and difference can be solved by the development of new communication model capable of overcoming this problem and leading the mutual communication and exchange. Looking at 'YeoWon' in this regard, one recognizes that the translation literature carried in this magazine could not make the development of new communication model capable of groping the liberation by finding the potential inside the original version and rather played a role to leave women inside the remain by coating the existing social order and meaning order with modernity and concreting them. Specially, the translation literature in 'YeoWon'promoted to give up womanhood and to go to the symbolic meaning of wife and mother immediately after the marriage. Therefore, woman's body could not be regarded as the thing to pretty up or to look for pleasure, but the functional thing to use for house work and child care. In some way, the conservativeness of 'YeoWon' became a useful guidepost to meet the strange heterogeneity without a external wound by giving women the sense of stability keeping the pyschological shelter which had protected them so f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