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장에서 5ㆍ16 직후에 벌어진 깡패소탕의 퍼포먼스에 주목했다. 200여 명의 깡패들이 서울 시내를 일주한 이 깡패소탕의 퍼포먼스는 5ㆍ16 군정의 통치 기반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5ㆍ16 군정에 의한 이 깡패소탕의 퍼포먼스는 4ㆍ19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된 이승만정권의 정치깡패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분노를 국민 일반으로 되돌리는 피단속자의 형상을 낳았다. 2장은 이러한 피단속자=국민이라는 등식이 갖는 전도된 관점과 인식을 문제 삼았으며, 이 과정에서 국가의 일상적인 신체 통치술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게 되는지를 되짚었다. 여기서 5ㆍ16 군정에 의해 체포ㆍ검거된 깡패들이 오지의 도로건설현장에서 시연한 근로/생산주체가 또한 중요하게 부각된다. 왜냐하면 이 깡패들이 ‘전시’하고 있는 근로/생산주체야말로 5ㆍ16 군정을 잇는 박정희 체제의 향후 국민화의 방향성을 틀지었기 때문이다. 3장에서는 ‘내핍하는 근로/생산주체’라는 젠더화의 함의를 띤 한국사회의 여공 신화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냥 열심히 일하기만 해서는 안 되는 내핍이라는 젠더화의 자질은 장시간 노동과 저임금의 근로자상을 한국사회에 정초했기 때문이다. 한국사회가 보여주는 이 유례없는 여공 신화는 월러스틴(Wallerstein)이 말한 세계 체제 내 하위 노동력을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전태일의 분신이 갖는 의미가 여기에 있다. 4장에서는 4ㆍ19와 5ㆍ16으로 이어지는 한국사회의 변모하는 사회상을 깡패와 여공의 두 문제적인 신체를 통해서 살펴본 데 따른 의의를 설명한 후, 결론을 대신하여 도대체 한국사회에서 깡패와 여공은 무엇이었으며, 현재의 한국사회는 이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되묻고자 했다.


Chapter 1 of this paper noted the performance of gang sweeps took place shortly after 5ㆍ16. The performance which more than 200 gang went around the city of Seoul helped to establish the base of rule in 5ㆍ16 military government. The performance of a gang sweep by 5ㆍ16 the military government resulted in the image of people being regulated that returned to the demand for the national general crackdown on political thug of Syngman Rhee regime in 4ㆍ19. Chapter 2 made an issue of being inverted perspectives and perceptions having people being regulated=nation and examined how to work a usual physical governmentality of the country in process. Chapter 3 critically examined the yeogong myth of Korea, “work/production subject to austerity” charged social implications of gender. Chapter 4 described shape of society to transform based two problematic bodies called the gang and yeogong leading to 4ㆍ19 and 5ㆍ16. Also this section would ask again what the hell was the gang and yeogong in Korea and this current society of Korea how far away from it.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 , ,

4ㆍ19 and 5ㆍ16, Gang sweep, yeogong myth, public opinion poll, people being regulated=nation, austerity, work/production subject, the Korea-Japan Treaty, young student, Cheon Tae-Il, Ham Seok-Heon, Park Chung-Hee, phobia of poverty, grammar of the nation-m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