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일터 밖 조직인 학습동아리의 여성 리더에 초점을 맞춰 이들의리더 활동 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일터 밖 장면에서 나타나는 여성리더의 활동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한 여성교육전문기관을 거점으로 여성들이 주도적으로 조직화한 학습동아리의 리더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고, 면접내용에 대하여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동아리 리더의활동 과정에 대하여 범주들간 관계를 도식화하였다. 또한 리더의 ‘리더로서의 역할 인식 수준’과 ‘학습주제에 대한 리더의 경험 수준’에 의하여 학습주도형, 학습지지형, 동반학습형, 학습지원형 등 네 가지 유형을 학습동아리에서의 여성 리더 활동 특성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실천적으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based on understanding women leaders' activities and behaviors in the women-centered study circle as one of organizations which is unrelated to employ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planned and the collected data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method as mapped by Strauss and Corbin(1996). The results of analyses, women leaders' activities in the study circle were schematized. Also, this study suggested 4 types of woman leader's activities by the level of role recognition as a leader as well as the level of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directed type, learning activated type, learning accompanied type, and learning supported typ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