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성 평등가치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나라에서 조차도 성 평등 실천이 아직 미흡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지속성을 갖는 성 평등한 동거관계의 형성과 조건에 대해 이상형의 개념을 사용하여 이론적 구성을 시도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으로 지속성을 갖는 동거관계의 발생 원인이 전통적 결혼의 불안정에서 기인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지속성을 갖는 동거관계는 성 평등 이념이 체화되어 행위자를 규율하는 에토스를 가진 개인 간의 성애적 결합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성 평등한 동거의 형성과 그 결과로서 성 평등의 실현은 이념적이기보다는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적 요소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지속성을 가진 동거가족이 존속하는 조건은 가사분담에서의 공평원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 그리고 전통적 결혼제도의 거부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논리적 구성물은 지속성을 갖는 동거관계의 실재를 파악하기 위한 예비적인 작업으로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reasons and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sustainable cohabitation in cohabiting couple. The author has an idea from being gender inequality in spite of developed countries where people take for granted gender equity as human equality. While gender equity was widespread notion worldwide it is not an ethos which dominates agents. Now the ethos of gender equity is revealed by few sustainable cohabitation agen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gender equality cohabitation community was established by instability of traditional marriage and sustainable cohabitation relationships based on gender equality itself would be achieved from daily life such as domestic labor equity and rejection to traditional marriage. The concept of sustainable cohabitation was used as an Ideal Type which could be analyzed or explained reality of cohab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