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상담 장면에서는 정서신경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내담자가 가지는 정서적 고통들을 접하고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경감시키고 변화시키는지에 관한 정서–중심적 상담모델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중 하나로서 정서의 변형적 힘을 통하여 속성적 변화를 이끄는 치료모델로 트라우마 치료 영역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으나 국내에는 소개가 된 적이 없는 속성–경험적 역동심리치료(Accelerated Experiential Dynamic Psychotherapy[AEDP]) 모델을 소개하며 향후 한국적 상황에서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AEDP 모델의 이론적 틀과 기법을 간단히 살펴본 후 어린 시절 아버지와 관계적 트라우마를 겪은 남성 내담자가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을 상담한 사례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사례에서는 AEDP적 치료 과정을 따라 방어적 내담자가 상담자와의 정서적 조율 과정을 통하여 내면에 숨겨두었던 핵심 정서와 만나게 되며 스스로 ‘죽음의 공포’라 부르던 신체심리적 증상을 극복해내며 부와 모와의 관계에서의 평안을 얻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AEDP에서 강조하고 있는 정서의 변형적 힘을 통해 회복되는 과정이 기독상담 장면에서도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presents a case study of a client who has suffered from traumatic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adopting Diana Fosha’s Accelerated Experiential Dynamic Psychotherapy(AEDP) model. AEDP has not yet introduced in Korea, but recently has gained much attention with the research outcomes of affective neuroscience. In the case, AEDP model was adopted to support a male client who had experienced relational trauma with his father in his early life. The counseling focused on empowering the client to overcome somatic symptom called ‘fear of death’ and recover peaceful relationship with parents through AEDP treatment model. In the process, the counselor assisted the client with adequate counseling services to use the power of transforming affect and AEDP specialized techniques, such as “dealing core affect” and “metaprocessing.” The study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s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AEDP as a short–term therapy model for Christian counseling field for trauma healing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