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Kohut의 자기심리학의 자기대상과 자기구조 개념을 기독상담적 관점에서 비평함으로써, 기독상담과 자기심리학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님을 자기대상으로 이해할 때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가, 하나님 자기대상과 인간 자기대상은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하나님을 자기대상으로 경험할 때 자기구조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님을 자기대상으로 경험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속성 중 하나님의 내재성의 일부만 경험하여 내면화하게 됨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초월성은 포함되지 않는다. 둘째, 하나님 자기대상은 Kohut의 자기대상의 역할뿐만 아니라 사랑에 기초한 직면, 교육, 훈계 및 징계를 포함한다. 셋째, 하나님 자기대상을 경험할 때 인간은 죄인이면서도 의인인 모순적 존재이며, 부분적 존재이며, 작은 존재임을 깨닫고, 자기 사랑을 넘어서 하나님의 사랑과 타자 사랑을 향해 변화된 자기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기독상담자는 자기심리학을 상담 현장에 적용할 때 확장된 ‘하나님 자기대상’ 개념과 자기애적인 모습에서 하나님과 타인을 사랑하는 모습으로 발달해야 함을 알고 있어야 한다.


This study criticized the concepts of Self Psychology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and attempted to integrate Self Psychology and Christian counsel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related to the concepts of selfobject and self–structure: first, what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when one understands God as selfobject?; second, does the experience of God as selfobject differ from that of humans as selfobjects?; third, does the self–structure of a person show any difference when he or she experiences God as selfob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uman experience of God as selfobject is limited to certain attributes of God, especially not including God’s transcendence. Second, the concept of selfobject needs to be extended to ‘God–selfobject’ in integrating Self Psychology and Christian counseling. The role of ‘God–selfobject’ includes confrontation, education, training, and discipline as well as the role of selfobject viewed in Kohut’s theory. Third, experiencing God as selfobject helps a person to fully accept himself or herself as a contradictory, partial, and small being and transforms his or her self–structure. The transformed self–structure works on behalf of God and others as God’s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