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뉴스사이트는 속보성과 손쉬운 접근성 때문에 인기매체로 부상하고 있다. 이 가운데 뉴스시장의 대형 뉴스사이트들은 독자적 의제나 유사한 의제 생산으로 여론의 방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형 뉴스사이트들이 보도하는 의제의 현저성을 매체 관심도와 기사 부각도에서 분석해 이들 사이트 간의 영향관계를 조사했다. 현저성의 구성요소인 관심도는 뉴스사이트가 특정의제와 관련된 기사를 보도한 빈도 수로 측정됐다. 현저성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부각도는 특정의제와 관련된 기사가 뉴스홈페이지에 게재된 위치를 고려해 측정됐다. 즉, 홈페이지 최상단에 게재된 기사 부각도는 1점을 부여하고 최상단의 바로 아래에 게재된 기사 부각도는 1/2점, 그 다음에 게재된 기사 부각도는 1/3점 등의 방식이다. 본 연구는 교차상관관계와 부분 교차상관관계를 이용해 <조인스닷컴>과 <조선닷컴>, <동아닷컴>, <온라인연합뉴스>가 보도한 의제의 현저성 순위를 첫째 주와 둘째 주에 걸쳐 비교했다. 이 결과, 의제의 현저성을 관심도-부각도에서 측정했을 때, 첫째 주에 <동아닷컴>이 보도한 의제의 현저성이 둘째 주에 <조선닷컴>이 다룬 의제의 현저성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의제의 현저성을 관심도에서 측정했을 때에는 영향관계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대형 뉴스사이트 간 의제설정효과가 언론사의 의제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의제를 담은 기사의 부각도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이며 대형 뉴스사이트들은 공통의제보다는 독자적 의제의 생산에 집중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News websites are popular because of immediacy and easy accessibility. Given this competition, major news websites can influence the direction of public opinion by covering unique or homogeneous news. This study measures the salience of agendas in terms of media attention and story prominence and examines influential relationships of the websites. Media attention is the first dimension of salience, which is measured by the frequency of stories containing agendas. Story prominence is the second dimension of salience, which is measured by the placement of stories. For instance, a top story receives a score of 1; the second story below the top story receives a score of 1/2. During two constructed weeks,a cross-lagged panel design and partial correlations analyze salience of agendas on major news websites: Joins.com, Chosun.com, Donga.com,and online Yonhap News Agency. At the attention and prominence level,the salience of agendas covered by Donga.com during the first week influence that covered by Chosun.com during the second week. At the attention level, there is no significant influence. Agenda-setting effects among major news Web sites occur at the attention and prominence levels. The websites focus on the production of unique agendas instead of homogeneous agend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