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적 시청이 TV의 문화계발 효과 가운데 이야기 몰입과 현실감에 미치는영향을 분석했다. 사회적 시청은 TV 시청을 하며 동시에 온라인 대화를 하는 다매체이용 행위다. 드라마를 시청하며 인터넷이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해당 드라마에 대해 다른 시청자들과 의견을 나누는 경우에 해당된다. 본 연구는 우선 드라마의 문화계발 효과의 일부분을 ‘시청량 → 이야기 몰입 → 현실감’으로 모형화한 뒤, 구조방정식분석으로 타당성을 검증했다. 이어서 온라인 대화를 조절변인으로 모형에 포함시켜,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온라인 대화는 이야기 몰입에서 현실감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유의미하게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이는 드라마 시청에 온라인 대화가 곁들여질 때, 시청자가 드라마에 몰입해도 드라마가 현실과 유사하다는 판단이 뒤따라오지 않을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적 시청이 드라마의 문화계발 효과를 방해하는 셈이다. 이연구를 위해 500명의 사회적 시청 경험자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ocial viewing makes changes in the TV’s cultivation effect. Social viewing is a way of multimedia use including both TV viewing and online social talk. It occurs when TV viewers exchange their information and opinions with other viewers of a program while they watch the program. This study proposed a model indicating relationships among viewing, narrative transportability, and perceived realism, and analyzed it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n, it was observed how the online talk, as a moderating variable, made changes in the model. As results, the online talk mad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transportability and perceived realism. It is a way that social viewing interrupts TV’s cultivation effect. For this study, 500 people with experience of social viewing participated in a 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