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근대 화폐 표상 연구에서 분석 대상 확장 및 영토적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근대 일본 화폐 양식의 서양화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 글에서는 화폐에 각인된 다양한 표상들을 구분하여 각각의 ‘화폐 양식’으로 정의한다. 화폐 양식은 도안, 단위, 문자, 언어, 문자기술방식, 위조방지장치, 일련번호, 화폐 형태 등 화폐에 재현된 모든 표상들이다. 이 글은 화폐 표상 분석으로 도안만이 고려되는 것에서 탈피하기 위해, 19세기 중반 미국에 의한 일본 강제 개항 무렵부터 20세기 중반 미 점령군에 의한 일본 점령기까지 발행된 일본 지폐의 형태, 언어, 그리고 문자기술방식을 중심으로 화폐 양식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지폐 형태는 미국에 의한 개항 이후 일본이 근대적 국가 만들기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서양화를 추구하면서, 언어는 일본이 제국주의적 권력 관계 틈에서 동아시아 공간을 식민화 하는 과정에서, 문자기술방식은 2차 대전 이후 미국에 의해 일본이 점령된 이후 미국 점령군총사령부에 의해 전환되었다. 이처럼 일본 화폐 양식의 서양화 과정은 일본이 제국주의 국가들과 맺는 권력 관계의 변화에 따라 능동·수동·강제적 방식 등 복합적 양상을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화폐 표상이 단순히 국민국가 단위 통합성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권역적, 전지구적 세계체계의 위계적 통합 및 친밀성의 확장과도 깊은 연관이 있음을 밝혔다. 즉 오늘날 대다수 국가가 발행하고 있는 지폐에는 국가적·권역적·전지구적 표상들이 다양한 화폐 양식으로 분산되어 각인되어 있다. 이는 19세기 이후 서양 제국주의에 의해 비-서양 국가들이 직·간접적으로 식민화되는 과정에서 수용·동화·이식 등의 복합적인 방식으로 고착 및 변형된 결과이다. 근대 서양적 화폐 양식은 19세기 제국주의를 통해 비-서양 국가들의 화폐 양식에 위계적으로 각인되었고, 자본주의적 세계 체계의 확장과 더불어 사회 도처에서 유통되었다. 화폐는 단순히 수평적 교환의 도구가 아니라 자본주의적 세계 체계의 위계 구조에서 특정한 방식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제하는 효과적인 도구이자 매체이다. 따라서 화폐 양식의 식민지적 이식 및 확장은 세계 체계 내의 문화적 친밀성 증대에 있어서 중요한 조건을 조성한다.


This paper suggests a new perspective for the studies on modern money by analyzing the money-forms. In general, the representations of territorial money are considered to be common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However, they, indeed, have worked to promote cultural intimacy to the historical world-system in non-Western countries. To show the role of the money-forms in world-system, this paper is mainly to analyze three different money-forms - the shape, language, and descriptive method of letters - focussing on changes in modern paper money of Imperial Japan. The Western money-forms had been introduced and inscribed in Japanese paper-money from the mid-nineteenth century to the mid-twentieth century. At the beginning, the Meiji government positively transformed the shape of traditional paper money to western way for modernization of money system in 1873. Second, in 1885, the Meiji government inscribed convertible words in English in both sides of paper money since Meiji government wanted to be consolidated to world-system and certificated as the civilized country by the Western powers. Third, after World War II, the Us occupation forces had deprived the money-issuing right of Japanese government until 1953 and transformed the descriptive method of letters to the Western way in 1948.


This paper suggests a new perspective for the studies on modern money by analyzing the money-forms. In general, the representations of territorial money are considered to be common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However, they, indeed, have worked to promote cultural intimacy to the historical world-system in non-Western countries. To show the role of the money-forms in world-system, this paper is mainly to analyze three different money-forms - the shape, language, and descriptive method of letters - focussing on changes in modern paper money of Imperial Japan. The Western money-forms had been introduced and inscribed in Japanese paper-money from the mid-nineteenth century to the mid-twentieth century. At the beginning, the Meiji government positively transformed the shape of traditional paper money to western way for modernization of money system in 1873. Second, in 1885, the Meiji government inscribed convertible words in English in both sides of paper money since Meiji government wanted to be consolidated to world-system and certificated as the civilized country by the Western powers. Third, after World War II, the Us occupation forces had deprived the money-issuing right of Japanese government until 1953 and transformed the descriptive method of letters to the Western way in 1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