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본 森下南陽堂에서 발매한 仁丹이란 약품은 식민지시기 한국에서 자주 발견되던 일상용품 중 하나이다. 인단이라는 상표명, 그리고 그 상표로 쓰인 대례복 차림 남성은 신문과 잡지 지면에서, 잡화점 진열대와 촌 주막 벽상에서, 거리거리의 간판과 광고탑에서 발견되며, 그 요법은 종종 전염병을 치료하거나 난산 중의 산모를 돕는 등 민간요법적인 데까지 걸쳐 있다. 인단 자체가 아니라 인단의 상표만으로도 치료 효과를 기대할 정도로 식민지에서 인단이라는 상품의 위력은 대단한 바 있었고, 실제로 인단은 동아시아 각 지역 외에도 인도·인도네시아·타이·필리핀 등지는 물론이고 멀리 남아메리카에까지 출장소를 설치할 정도로 활발한 진출 양상을 보였다. 그렇듯 대대적이었던 성공 요인으로는 인단이 제조법에서나 상표에서나 옛 것­동양적인 것과 새 것­서양적인 것 사이를 절충하고 보완했다는 점을 먼저 들어야 할 터이나, 그 못지않게 주목되는 것이 일본 제국의 대리­보충물로서 인단이 행한 역할이다. 인단은 엄격하게 통제된 천황의 초상을 대신해서 아시아 각국에 천황의 대중적 이미지를 전시했으며, 실제의 제국을 대리해 군사적 강력과 유교적 인의를 결합한 이상적이고 허구적인 제국의 표상을 전파했다. 인단이라는 상품에 대한 동아시아 각 지역의 반응은 조금씩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 인단은 ‘神藥’ 인단으로 불렸지만 한편 반일 분위기 속에서 공공연한 대항 상품까지 등장했던 반면, 대만에서 인단 상표의 남성은 ‘콧수염 군자’로 불렸고 1945년 이후에도 오래도록 같은 이미지를 유지했으며, 한국에서는 분명한 저항이나 경쟁 대신 하위 모방의 풍조가 만연했다. 대표적인 한국인 회사 중 하나였던 화평당에서는 노골적으로 인단의 제품과 상표를 모방했으며, 인단의 권위를 가장한 사기 사건도 가끔 신문지상에 등장하곤 했다. 인단이 일본 제국의 허구적이자 이상적인 표상으로서 유통되었다면, 식민지에서 그것을 모방하고 소비하는 과정은 독특한 바 있다. 중층적이고 모순적이었던 식민지에서의 제국 표상은, 해방 후에는 다시 ‘인단’ 대신 각종 ‘은단’이 등장하는 역사 속에서 굴절된다. ‘인단’의 대리보충으로서의 ‘은단’이 중요 산업품 중 하나로 군림하다가 완전히 주변화된 것이 해방 후 60여년간의 한국 역사인데, 이 지점에서 인단에 얽혀 있는 식민성과 탈식민성의 문제는 다시 조명될 필요가 있다.


Jintan, the popular domestic medicine of Japan, has left very interesting scenes in the Asian countries from 1905 to 1945. Jintan's popularity can be explained partly on account of the reconciliation efforts of the old and new, or of the western and Asian, but elucidated in a lot clearer way when we take into account its trade mark and its imaginary values. Jintan's mark is a man with mustache who wears a dress uniform, and the name of jintan means the Asian tablet(丹) of charity(仁). Its early catch-phrase was 'Jintan for the virtue' and the man's portrait in the mark appealed to the people in reference to a heroic general Oyama Iyao or an impressive high official Ito Bunkichi. Along the expansion of the foreign markets of jintan, we can observe jintan also has explored its imaginary and symbolic value. Jintan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Japanese products and secretly calls forth the heroic figures of modern Japan, yet its appealing power in the east Asian areas needs further reconsideration. The name of jintan meaning charity, its aggressive advertisement strategy and timely charity actions, and its trade mark man who looks authoritative but generous― All of these elements were so powerful among Asian people that were sometimes spent as far as in superstition uses. Although there can be found the differences across the east Asian countries―the open anti-Japanese atmosphere around jintan was most obvious in China, and the modes of mimicry were widely seen in Korea―, jintan has raised the issue of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during the former half of 20th century and even afterm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