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30년대 출간된 백남운의 『조선사회경제사』와 『조선봉건사회경제사(상)』는유물사관을 한국사에 최초로 적용한 책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글은 ‘최초’라는데관심이 있는 것 아니라, 당대의 지배적 역사 담론 속에서 그의 한국사 및 세계사인식이 얼마나 독특하였는가를 드러내는데 관심이 있다. 백남운의 한국사 인식, 나아가 동서양을 보는 역사관은 당시 그와 대극점에 있던 일본인 관학자와 조선인주류 마르크스주의 역사인식과 비교하여 매우 남다르다. 그의 역사관에는 정상과비정상의 구분이 없으며, 유럽과 아시아 그리고 일본과 조선의 차별도 없다. 지리적, 문화적 차이에 따른 발전 과정상 속도의 차이만 있을 뿐, 내적 동력이 결여되어있어 오랜 정체에 빠진 나라도 없다. 그의 이러한 일원론적인 역사관은 당시 지배적인 담론, 즉 유럽 및 일본=보편(=발전) 대 아시아 및 조선=특수(=정체)라는 이원론적 역사관에 대한 대항적 성격을 갖고 있다. 즉 그의 시도는 작게는 福田德三과조선인 마르크스주의자들에 의해 정상궤도로부터 이탈한 ‘이단’의 조선을 정상 궤도로 환원함으로써 ‘조선사회 정체론’을 뛰어넘고자 하였으며, 크게는 아시아사회를 유럽과 동등한 정상 계열의 발전과정을 거친 보편성으로 승격시킴으로써 마르크스의 ‘아시아사회정체론’을 넘어서고자 했다. 그의 역사인식이 독특하다는 것은당대에서 백남운 이외에 이러한 역사관을 갖고 있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다는점 때문이다.


Paek Nam-un갽s two books, A Social Economic History of Korea (1933) [Chos.n sahoe ky.ngjesa ] and The Feudal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Korea (1937) [Chos.n pongg.n sahoe ky.ngjesa ], were the first recorded attempts to interpret Korean history through Marxist historical materialism.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Paek갽s peculiar interpretations of Korean history in comparison to other prevailing historiographies. According to Paek갽s two books, Korea갽s past was governed by the same laws of progress that governed all other civilizations. In other words, Koreans had the same capabilities as other peoples in terms of driving its own history towards an incipient development of capitalism. Furthermore, Paek disagreed with the assertion that Asia lagged behind the West due to its Asiatic mode of production or Oriental despotism. Instead, Paek followed Lenin갽s theory of imperialism by insisting that Asia had enjoyed the normal (i.e. Western) pattern of historical development until succumbing to the effects of Western imperialism.despite local variations in the speed of development and in the duration of its stages. For him, the thesis on 갻Asian stagnation갽 or Asiatic mode of production served as a weapon used to justify colonial domination through historical distortion. In other words, Paek clearly rejected the Orientalist West versus the East dichotomy, as well as that of Japan versu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