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전쟁을 체험한 행위주체들의 사회적 고통과 외상의 현재성에 귀 기울이는 작업은 일상기에 재생산되는 한국전쟁의 다양한 국면을 탐침할 방법론적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한국전쟁 좌익 유가족들의 두 사례 가족사를 중심으로 한국전쟁이 낳은 외상의 복합적 차원과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사례재구성을 통해 전시에 체험한 (준)국가기구에 의한 가족 상실(family loss)이 이후 분단국가의 정치과정에서 연좌제를 매개로 고향의 상실, 공동체의 상실, 정치의 상실, 기억의 상실이라는 다차원의 외상 과정 속에 재생산되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양 사례는 전후 반공국가의 일상화된 폭력을 매개로 외상적 체험을 ‘재경험’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갖는다. 두 사례가 갖는 비교의 지점을 살펴보면, 전후 가족이라는 지지대를 유지할 수 있었던 남성 사례의 경우, 72년 유신 직후 공권력에 의한 가족 상실을 재경험하면서 가족이라는 친밀성의 영역이 폭력적 국가에 대한 대안적인 감정공동체로 부상하게 되는 외상의 사회적 구성 과정을 보여준다. 반면 전쟁의 과정에서 가족해체를 경험한 여성 사례는, 식민지 폭력의 피해자이자 가정폭력의 가해자인 가부장에 대한 속박(Captivity)의 상태를 강화하는 외상 과정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전쟁 유족들의 ‘가족 상실’이 갖는 사회정치적 차원의 복합성을 드러내는 한편, 일상이 되어버린 한국의 전쟁체제에서 ‘가족’이 ‘트라우마’의 전승기제로 작동해 왔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탈식민·탈냉전·탈독재가 얽혀있는 복합적 과거청산의 국면에서 빈곤과 학살의 세대적 순환을 예방하기 위한 다각도의 ‘전쟁 트라우마’ 연구의 필요성과 가족사 방법론의 확장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for trauma, and its social construction in everyday life for the bereaved families of accused leftists during the Korean War. This study extended biographical methodology into a ‘family history methodology,’ to compare two case studies. The former illustrates the social process in which the ‘family’ in Korean society becomes politicized through the shared experience of state and institutional violence in a dictatorship. In contrast, the latter demonstrates how the structures of social trauma (colonization and war) ubiquitously manifest the personal experience of gendered violence in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e sociopolitical complexities of ‘family loss’ due to South Korean government regimes. These regimes attempted to replace the family with the state, creating a new ‘family’ that functioned as a transference mechanism of trau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