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항만들의 급부상과 그에 따른 부산항 등 한국 항만의 위축과 같은 항만들 간의 위상 변화가 실제 동북아항만들간의 영향 관계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각국 항만 자체의 경쟁력 변화에 의한 것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결과 예상한데로 중국 항만의 경쟁력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한국과 일본의 항만 컨테이너물동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반대로 한국과 일본의 항만컨테이너물동량에 의한 영향은 크게 받고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일본의 컨테이너물동량이 한국 및 중국의 컨테이너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은 예상보다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항만 컨테이너물동량은 중국 보다는 크지 않지만 여전히 중국 컨테이너물동량과 일본의 물동량에 적정수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한일 항만간의 공동협력 등으로 시너지효과 창출방안 모색하여 중국 항만과의 균형된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한 정책적 공조와 협조를 위한 다양한 방안의 도출이 필요할 것임을 시사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ynamic relationship of container traffic volum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and to induce policy implication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paper analyzes container traffic volum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with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forecasting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based on VAR or VECM using yearly panel data on 3 countries over the period 1990∼2013. Results :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tainer traffic volume of China has a great effect on that of Korea and Japan, but is less influenced by container traffic volume of Korea and Japan. The container traffic volume of Japan very little influence on that of Korea and China. The container traffic volume of Korea has a smaller effect on that of China and Japan than that of China.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tainer traffic volume of Korea and Japan will be more depended on that of China than ever, therefore korea has to take a fundamental measures to promot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