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어휘정보와 음향정보가 음소복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1은 단어와 분절조건을 새 과제에서 비교하여 어휘효과를, 실험 2는 표적 음소 구간의 앞, 뒤의 음향정보가 음소복원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3은 분리주의 상황에서 음소복원을 각기 검토했다. 단어와 분절 조건 모두에서 음소복원이 있었고, 표적 음소 뒤의 모음 정보가 복원에 중요했으며, 분리주의 상황에서 단어는 감민도를 증가시켰다. 분절이 단어와 마찬가지로 음소복원을 일으켰고, 음소복원에 표적 자음 다음의 모음이 중요했으며, 어휘정보를 담은 단어가 감민도를 떨어트리지 않고 향상시켰다는 이 모든 결과들은 어휘정보가 음소복원에 영향을 주지 못함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언어처리 모형들에 비추어 논의했다.


The effects of lexical and acoustic information on phoneme restoration were examined over three experiments. Experiment 1 compared the lexical effects in between the word and the fragment condition in a new task. Experiment 2 examined the roles of acoustic segments preceding and following the target phoneme. Experiment 3 explored the phoneme restorations in a divided attention condition. Both the word and the fragment condition produced phoneme restorations and the vowel segment was very important in restorations. The word condition yielded increased sensitivity in the divided attention condition. Three experiments converge to the conclusion that lexical information does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phoneme restoration. Our results were discussed in view of current models of language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