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1) 반응간섭을 일으키는 방해자극이 표적과 다른 반구에 제시되면 표적과 같은 반구에 제시될 때에 비해 간섭을 더 적게 일으키는지, 2) 표적과 같은 반구 또는 다른 반구에 제시된 방해자극이 높은 단서 타당도를 가진 주변단서에 의해 선택적 주의를 받게 되면 반응간섭이 증가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1의 결과는 방해자극이 표적과 같은 반구에 제시되건 다른 반구에 제시되건 상관없이 간섭효과의 크기가 일정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반응선택 단계에 작용하는 간섭의 경우, 지각적인 간섭과 달리 간섭을 유발하는 방해자극을 표적과 다른 반구에 제시하더라도 반구간 분리에 따른 이득이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실험 2에서 표적 처리를 방해하는 부적절한 자극이 잘못된 주의를 받게 되자 반구간 분리에 따른 이득이 다시 나타났다. 즉, 표적과 같은 반구에 제시된 방해자극이 선택적 주의를 받을 때에만 반응간섭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표적과 다른 반구에 제시된 방해자극은 선택적 주의를 받더라도 반응간섭의 증가를 일으키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반구간 처리가 반구내 처리에 비해 방해자극으로부터의 간섭을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반구 독립성 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We ran two experiments to determine; 1) if interference due to competing responses (such as occurs in the Stroop task) can be reduced by between-hemisphere separation of target and distractor, and 2) if between-hemisphere separation of target and distractor was effective in reducing interference when the peripheral cue drove spatial attention to the distractor. In Experiment 1 where the peripheral cue was not provided, interference in the between- and within-hemisphere condition did not differ from each other. In Experiments 2, a peripheral cue of high validity was presented sometimes to the target location and sometimes to the distractor loca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2 showed that between-hemisphere separation of target and distractor could effectively protect target processing from a distractor that mistakenly drew attention. The present results imply a possible role of an interhemispheric shielding mechanism to prevent wrong responses to the mistakenly selected stimulus at the attended 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