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어 대인 동사에서 발견된 숨은 인과율 효과(박권생 2009, 실험 2)에 자극 글에 이용된 인과 접속사 ‘왜냐하면’이 기여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2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박권생의 실험 2에서 관찰된 결과를 반복 확보함으로써, 박권생의 결과가 확고한 현상임을 재확인하였다. 실험 1에서 발견된 숨은 인과율 효과에 접속사 ‘왜냐하면’의 기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설계된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자극 글에서 접속사 ‘왜냐하면’과 그의 짝 ‘때문이다’를 삭제한 것 이외에는 실험 1과 동일한 자극과 절차가 이용되었다. 실험 2를 통해 확보된 결과도 실험 1의 결과와 흡사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 2에서 확보된 이러한 결과는 박권생의 결과(2009, 실험 2)와 이 연구의 실험 1에서 수집된 결과 모두 접속사와는 무관한 효과를 반영한다고 말한다. 이 현상의 배후에서 작용할 것으로 간주되는 세 가지 모형이 논의되었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implicit causality effect observed in Park’s (2009, Experiment 2) study reflect the influence of the connective (왜냐하면) that was used to indicate the coherence relation between the two critical sentences in the stimulus texts. Experiment 1 replicated the results of Park’s Experiment 2, showing that the implicit causality effect is a robust phenomenon. In Experiment 2 of this study we used the same stimulus material that was used in Experiment 1 except for that the connective (왜냐하면) and the accompanying word (때문이다) were eliminated. We found almost the same result as that of Experiment 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licit causality effect observed in both this and Park’s study do not reflect the influence of connective but the influence of special properties of some interpersonal verb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ree different the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