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Reading the Korean Hanja (logographic) and Hangul (alphabetic) scripts invokes different underlying neural mechanisms based on the degree of grapheme-to-phoneme correspondence (GPC) in the two scripts. This study examined the distinct brain asymmetries in processing Hanja and Hangul scripts of the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the Hanja proficiency levels of Korean native speakers. Twenty-fiv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Hanja proficiency levels: High and low groups. Participants performed a lexical decision task (LDT) during the electroencephalogram (EEG) recording. Results revealed differential brain asymmetry pattern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Hanja proficiency levels. The high Hanja proficiency (HP) group showed a larger N400 lexicality effect in the right hemisphere, whereas the low Hanja proficiency (LP) group showed a larger N400 lexicality effect in the left hemisphere during Hanja script recognition. However, no distinct hemispheric asymmetry was observed according to Hanja proficiency levels when participants processed words written in Hangul scrip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ocessing of Korean Hanja script involves distinct neural processes distinguished from Hangul script processing, whereby different hemispheric specializations are involved according to the Hanja proficiency level of the reader.


한국어에는 철자열-음소 대응의 정도가 다른 두 가지의 표기체계가 존재한다. 한자는 비교적 자음-음소 대응의 정도가 낮은 편이고, 반대로 한글은 자음-음소 대응의 정도가 높은 편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화자의 한자와 한글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각 문자의 자음-음소 대응 정도에 따라 독특하게 나타나는 신경기제를 밝히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한자 능숙도가 다른 두 집단의 한자와 한글 재인 과정에서의 좌우반구 비대칭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25명의 한국어화자가 본 실험에 참가하였고 한자 능숙도 사전 검사를 통해 한자 능숙도에 따라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 참가자들은 뇌파기록을 하는 동시에 어휘판단과제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자 능숙도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의 좌우반구 비대칭이 발견되었다. 한자 능숙도가 높은 집단은 우반구에서 더 큰 N400 어휘성 효과가 나타난 반면에 한자 능숙도가 낮은 집단은 좌반구에서 더 큰 N400 어휘성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한글의 좌우반구 비대칭성은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화자가 한자를 처리함에 있어 한글과는 다른 신경기제를 가지고 있고, 한자 능숙도에 따른 한자의 독립된 전략적 처리과정이 서로 다른 양상의 좌우반구 비대칭성으로 나타났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