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농업분야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사이버교육을 도입하기 이전에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이용의도 차원에서 나타나는 요인(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사용에 대한 태도)과 개인적 요소(나이, 학력, 자아효능감,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가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나이와 학력에 따라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대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나이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학력의 주효과(F=8.872, p<.004)와 상호작용효과(F=4.591, p<.014)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확률(p)에서 .05를 기준값으로 보았을 때,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유의미적 영향 변인은 사용에 대한 태도(=.479, p=.000), 학업관련성(=.229, p=.000), 자아효능감(=.133, p=.030)으로 3개의 변인 모두에서 정적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사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농업분야나 또는 자신의 학업과 관련성이 크다고 느낄 때, 이용의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이버교육에 대한 자아효능감이 높을 때와 학력이 높을수록 사이버교육 이용의도가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학력에 따라 사이버교육에 대한 이용의도가 다를 수 있으며,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 본인 및 학업에 대한 사이버교육의 긍정적 인식이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이버교육을 실행하거나 전개할 시 이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Cyber education is currently believed to be effective for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education.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and usage related factors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ttitude) and personal factors (self-efficacy, relevance of major, educational level, social norm). Major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hich adopted age and educational level and interaction effect of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as dependent variable, main effect of educational level was significant. Meanwhile, main effect of age was not significant. Second, attitude toward cyber education use (=.479, p=.000), and relevance of major(=.229, p=.000) or self-efficacy (=.133, p=.030)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ll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positiv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when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cyber education use is positive and relevance of major related to other colleagues use is positive, their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will be increased accordingly. Further, higher self-efficacy and education level, higher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would take place. It is finally proposed that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level should be considered when cyber education courses or programs are developed, and educational efforts to increase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their norms’ to others should be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