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고성과작업시스템과 무형식학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양상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역량 향상과 동기 부여가 필수적인 과정이라는 점을 통해 무형식학습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인적자본기업패널에 2007년과 2009년 설문에 응답한 256개 회사의 기획/경영일반 담당자, HRM 담당자, HRD 담당자의 응답 결과를 조합하여 각 변인을 측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은 당해연도(2007), 2년 후(2009) 조직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무형식학습 제도인 on-the-job training(OJT), 코칭/멘토링, 실행공동체(CoP) 중 OJT 활용도는 2년 후 조직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OJT 활용도는 고성과작업시스템과 2년 후 조직성과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OJT의 유용성에 대한 강조와 함께 코칭, 멘토링, 실행공동체와 같은 무형식학습 제도를 구성하고 운영함에 있어 고민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high-performance work system (HPWS), and informal learning of Korean corporations. The data of 256 companies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as used. We used data collected from multiple sources of strategic planners, HRM and HRD practitioners, and team leaders. We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HPWS significantly predi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2007 and 2009 either. Second, among the practices of informal learning, only utilization of on-the-job training (OJT)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fter 2 years. Third, utilization of OJT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PW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