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2010 인구주택총조사 2% 표본 원자료를 직접 분석하여 한국 농촌의맞벌이부부 규모 및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도시의 맞벌이부부와 비교하여 그 차이와특성을 밝히고 있다. 또한 맞벌이부부를 정의하기 위해 맞벌이부부의 연령상한선을경제활동인구의 기준인 20세부터 64세로 한정한 방안과 20세부터 80세로 연령상한선을확대한 방안을 이용하여 맞벌이부부의 규모를 추정하였다. 여기서 맞벌이부부는 부부모두 지난 일주일간 주로 일을 한 경우만을 고려하여 부부가 모두 전일제로 일한경우만 맞벌이부부로 정의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정의에 따라 농촌지역과 도시지역, 그리고 각 시도별로 맞벌이부부의규모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밝히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의 맞벌이부부를 이해하기위해서는 연령상한선을 80세로 높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함을 발견하고, 이후에는 맞벌이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밝힐 때 20세부터 80세까지 전일제로 일한 맞벌이부부를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농촌의 맞벌이부부는 연령의 측면에서도 도시의 맞벌이부부 보다 고령화되어 있다. 그러나 각 직종별로 농촌과 도시의 맞벌이부부의 평균연령을 구해보면 생각만큼 크게차이나지 않았다. 이는 농촌지역의 맞벌이부부가 농어업직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고령화되어 있지만, 비농업부문에 종사하는 농촌지역의 맞벌이부부는 상대적으로 덜 고령화되어 있음을 뜻한다. 또한, 농촌의 농업부문에 종사하는 맞벌이부부와 비농업부문에종사하는 맞벌이부부 사이에 이질성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농촌의 맞벌이부부는 평균 고졸의 교육수준으로 도시의 맞벌이부부에 비해 평균교육수준이 낮았다. 그리고 농림어업직에 주로 종사하면서 맞벌이부부의 남성의 대부분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로 종사상의 지위가 파악되는 반면, 여성은 무급가족종사자로파악되고 있다. 이는 한국 현실에서 성별 불평등 현상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며젠더적인 관점에서도 농촌의 맞벌이부부에 관한 더 큰 관심이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다.


This research estimates the magnitude of dual income couple household and investigates sociodemographic characters of dual income couples in Korean rural areas focusing on comparison with urban dual income couples. A dual income couple is defined in this research as a couple who were between ages 20 and 80 and worked full-time for the last week at the point of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2%raw sample data of the Korean Population and Household Census was adopted and analyzed. When upper age limit for a dual income couple is 64,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dual income couple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However,when we expand upper age limit to age 80, the proportion of dual income couple household in rural area was greater than in urban area by 10%. This generally reflects rapid aging of population in Korean rural area. Unlike married couples urban area, a number of aged married couples in rural areas are still engaged in paid work everyday life. And those married couples mostly work in agriculture and forest in rural areas, are highly aged as we can easily expect. This results in greater magnitude of dual income couple in rural area when compared with urban area. In terms of average age of dual income couples, men and women of dual income couples in rural area are much older than those of urban areas by 10 years, respectively. While educational attainment for dual income couples in urban area is more than high school education on average, it is just high school education for dual income couples in rural area. In urban areas, majority of men and women of dual income couples are wage workers whereas men of dual income couples in rural area are employer without employee and women are grasped as unpaid family work employee. This also reflects that majority of men and women of rural dual income couples are engaged in agricultural and forest industry. This research clearly shows that more concern should be paid on dual income couples in rural area as well as in urban area because of greater magnitude and different sociodemographic characters for rural dual income cou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