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서울의 C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국제결혼가정 아동들과 이들의 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한 관찰과 면담을 통해 국제결혼가정 아동들의 학교적응 양상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의 적응 양상은 무엇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제결혼가정의 아동들은 문어를 중심으로 한 소통상의 문제로 인해 학업 수행을 위시한 전반적인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들의 이 같은 부적응 상황에는 근대화론에 입각한 동화주의적 성격을 띤 교육프로그램과 국제결혼가정 아동들의 문화적 배경을 인정하는 활동을 일종의 차별 행위로 여기는 교사들의 인식이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국제결혼가정 아동들에 대한 교사와 일반 아동들의 부정적 인식 역시 학교적응을 어렵게 하고 있었다. 아울러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국제결혼가정 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상이한 전략과 태도도 아동들의 학교적응 양상에 차이를 가져오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문화교육에서 현장 실천자인 교사들의 의식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것과 국제결혼가정 아동들을 한국사회에 동화시키는 일에 교육의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모든 아동들이 열린 마음과 배려의 정신으로 ‘다름’을 받아들일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adjust themselves to Korean schools and what are the perception and attitudes of their parents and teachers, which have potential to influence the school life of those children. In doing so,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C primary school located in Seou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nd large, children are having difficulties in adapting themselves to school life due primarily to communication problems in written language, which results in low academic achievement of these children. Second, the tendency of programs for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to be assimilation-oriented and teachers' perception that those activities recognizing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are discriminatory are likely to lead to the maladjustment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In addition, negative perceptions of other Korean students towards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make school adjustment even harder. Lastly, the fact that parent’s attitudes towards their children’s education vary from one another leads to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From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who are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change their misperception regarding the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it is imperative tha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go beyond the assimil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into Korean society and seek to change other Korean children’s perce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