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09년 전국다문화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학교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HGLM)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주여성의 학교활동 참여는 개인수준과 지역수준에서 그들이 보이는 특성들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개인수준 특성의 영향이 특히 두드러진 것으로 판명되었다. 구체적으로 보통 수준의 참여 양상을 보이는 이주여성에 비해 학교활동에 아예 참여하지 않는 이주여성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고 거주기간이 짧으며 가족해체를 경험했거나 취업을 하고 있을 개연성이 높으며 한국인이나 모국인과의 교류 빈도가 낮았다. 반면 보통 수준의 학교활동 참여를 보이는 이주여성에 비해 학교활동에 훨씬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이주여성은 교육수준이 높고 거주기간이 짧은 편이며 확대가족에서 생활하고 한국어 쓰기 능력에서 강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교육지원에 대한 요구가 강하고 한국인이나 모국인과의 교류도 활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이주여성의 학교활동 참여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한국인과의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Drawing on data from 2009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using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HGLM). Results show that while both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are found to contribute to variations in 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individual factors play a preponderant role in shaping their participation behaviors. Specifically, compared to migrant women with normal level of participation, migrant women who do not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at all are likely to have lower socio-economic status and a shorter duration of stay in Korea, have experienced family disruption in the past,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and have a lower tendency to mingle with both their Korean neighbors and their compatriots. As for those women wh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school activities, when compared to migrant women with normal level of participation, they a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have a higher level of education, a shorter residence period, a higher level of fluency in written Korean, and a higher tendency to mingle with their Korean neighbors and those people with the same country of origin. Taken together, it is imperative that more attention be given to improving migrant women’s fluency in written Korean and helping them mingle more actively with their Korean neighbors in order to revitalize 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