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육실습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 형성 및 발전 과정의 실태를 탐색하고 교육실습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생 42명의 일지와 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를 있는 그대로 제시하고 그 현상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실습생들은 대학과 다른 교육실습학교의 조직문화와 지도교사와의 관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특히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지니고 교육실습에 임하지만 학생들의 경계심이나 무관심으로 당황하게 되거나 예의 없고 버릇없는 행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의 무관심과 예의 없는 태도에도 불구하고 이들과 친해지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였으며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고민, 불안, 또는 방황에 대해 이해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학생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학생이 처한 환경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불가항력적인 상황’으로 인식하고 헌신적인 자세로 학생들에게 다가가는 교육실습생도 있었다. 이 같은 교육실습생의 노력으로 인해, 학생들도 점차 ‘마음의 문’을 열게 되었으며 이전과 다른 ‘인사하기, 먼저 말 걸기, 먹을 것 주기, 장난걸기, 농담하기’ 등과 같은 변화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교육실습생들은 자신을 ‘선생님’으로 부르고 따르는 학생들의 모습을 통해 드디어 자신이 ‘교사가 되었다’라는 ‘성취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나타나는 교육실습생의 ‘교사되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과의 관계를 통해 부여된 ‘교사라는 지위’에 감격하고 희열을 느끼게 되지만 이것이 도리어 교사라는 업무를 올바로 수행하는데 예상치 못한 한계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탐색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of the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process between student teacher and students, and help activate the pre-service internship in right direction. This research focused on presenting accurat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teacher and students in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and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the phenomena, on the basis of practice journals of forty-two student teachers and in-deep interviews with five student teachers.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were suffering from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universitie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particular,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performed the internship with positive expectations for students, but they were perplexed by wariness and apathy or were suffering from naughty and rude. However, student teachers continued to try to make good relationship with student in spite of their wariness and rude, understood a much more appreciation of distress, anxiety, or wandering that they had in schools. In addition, some student teachers recognized problems with student behavior as a matter of 'impossibility of the situation' from their environment rather than as their own problems, and then they showed their dedication to the students. As a result of student teachers’ efforts, students opened their heart at last, and they showed student teachers their transformation such as ‘bowing, talking, giving snack, playing around, and joking’. In particular, when student called and followed student teacher as a real teacher, student teacher displayed a sense of accomplishment ‘became. a teacher’. However, in this study, there was a limit to the ‘becoming teacher’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 addition, student teachers were overjoyed at ‘status of teacher’ granted through a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but this worked as an unexpected limitation to perform their duties prop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