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2000~2006), 한국의 대표적인 공기업인 구정부투자기관의 자본구조 결정요소를 분석·예측하는 실증연구이다. 실증 결과, 유형자산 담보가치 및 자산증가율로 대표되는 성장성은 공기업 부채조달(자본구조)에 기여함으로써 대주 및 차주간의 정보비대칭으로 발생하는 부채의 대리인 비용을 줄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기업의 수익·유동성은 부채조달과 음(-)의 관계임을 실증함으로써, 기업의 잉여자금이 부채차입, 주식발행 등의 자금조달보다 선순위로 활용하는 자본조달순위이론과 부합됨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공기업이 전형적인 부채조달을 통한 이자비용을 활용한 세금효익외에 비부채세금효익인 감가·감모상각비를 활용하여 절세에 활용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about What the determinants of capital structure of Korean representative public firms are since 2000.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the collateral value of tangible assets positively contributes to debt financing of public firms. Growth represented by yearly total asset change also positively contributes to debt financing as traditional 'Trade-off & Agency theory' asserts. However, profitability & liquidity negatively contributes to debt financing as 'Pecking order theory' asserts . In addition, non-debt tax shield using depreciation & amortiza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bt financing, which means depreciation & amortization are partially used as tax shield apart from the typical debt tax shield of interest costs.